분류 전체보기(252)
-
제2장 2절 바인더의 선정과 그 적정첨가
제2장 각종 유기첨가제의 요구물성과 분말에의 적성평가 제2절 바인더의 선정과 그 적정첨가 (株)村田製作所 吉川宣弘 서론 전자부품용 세라믹스를 비롯하여 파인 세라믹스는 세라믹 원료분말을 성형해서, 얻어진 성형체를 소성함으로서 제조한다. 파인 세라믹스 제조에 이용하는 세라믹 원료분말은 점토와 같이 가소성을 보이지 않는 분말이므로 물로 적시는 것만으로는 성형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가소성을 보이지 않는 분말을 성형한다든지, 성형부터 소성까지의 공정에 있어서 핸들링 할 수 있는 강도와 보형성을 성형체에 부여하기 위하여 바인더의 첨가가 필요하다. 제품의 크기, 구조, 형상 등에 의해 성형방법을 선택하지만, 성형방법에 의해 바인더에 요구되는 조건과 특성이 다르다. 바인더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성형방법의 프로세스와 특..
2021.04.03 -
(Dispersion)분쇄공정, 나노분산공정과 슬러리
서론 습식 비즈밀은 미립자화의 기반기술로서 분쇄, 나노 분산과 넓은 조작영역을 갖는 기계이지만 이기계에 의한 분쇄와 나노 분산의 미립화 메카니즘은 전혀 다르다.분쇄는 괴립을 비즈의 충격으로 파쇄, 압축, 마쇄에 의해 미립화하는 조작임에 반해, 나노분산은 응집상태이 나노입자를 별개로 하는 조작이다. 이들 조작의 구분하여 사용하려면 비즈입경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분쇄조작은 0.2mm~5mm의 비즈, 나노 분산조작은 0.1mm이하의 비즈가 선정된다. 이들 미립화 메카니즘은 미소 비즈의 사용가능한 비즈 밀을 먼저 개발한 고토부키공업에 의해 확립되었다. 본고에서는 비즈 입경에 의해 변화하는 조작을 실시 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분쇄는 1986년에 개발한 0.5mm에서 2mm의 비즈를 사용할 수 있는 Apex ..
2021.04.03 -
(Dispersion)최신 매체 교반형 Mill
三井鑛山 株式會社 Susumu Gunji & Osamu Ishikawa 개요 Media 교반형 Mill은미국의 Union Prosess사의 Dr.Szevar에 의해 1940년대에 개발되었고, 특허 신청 후 아트라이터(그림1)이라는 이름으로 판매 되었다.이에 따라 Ball Mill로 1주일이나 걸렸던것이 몇 시간 만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고, 널리 보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미츠이미이케제작소(現미츠이광산)가 1960년에기술을 도입해 발매했다. 그림 1. 아트라이터 1952년에는 Dupont사가Sand grinder를 개발하고 습식 미립 분쇄, 분산을연속적으로 처리를 하여 주목을 받았다. 그 후 개선ㆍ개량되어 1990년대에는작은 경의 Media를 사용하는 Mill이 계속해서 개발되었고분쇄, 분산효율을 비약적으로..
2021.04.03 -
제2장1절 세라믹스 성형용 유기첨가제의 요구물성과 그 사용법
제2장 각종 유기첨가제의 요구물성과 분말에의 적성평가 제1절 세라믹스 성형용 유기첨가제의 요구물성과 그 사용법 라이온(주) 角井壽雄 서론 신뢰성 높은 고기능, 고성능 세라믹 제품을 저가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료인 세라믹 미분체의 콘트롤이 중요하다.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해서는, 미분체를 1차입자까지 균일하게 분산하고, 그 집합상태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분산제어의 용이성과 제조성의 점으로부터, 미분체는 액중에 분산한 고농도 슬러리(서스펜션)로 하여 다루어, 요구에 맞춘 슬러리를 얻기 위해서, 최적의 분산매와 분산제가 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산제는 분체입자의 분산 슬러리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노하우로 공개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경험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2021.04.03 -
제3장1절 슬러리 점도의 조정
제3장 슬러리 조제와 미분말의 균일 분산화 제1절 슬러리 점도의 조정 (株) 富士通硏究所 栗原和明 1. 슬러리의 점성거동 슬러리의 점성은 성형시의 중요한 인자이다. 여기서는, 닥트블레이드법(Doctor blade)을 이용하는 테이프성형(Tape casting)에 관해서 서술하겠다. 먼저, 닥트블레이드법에 관해서 간단하게 서술하겠다. 닥트블레이드법은 균질한 슬러리를 캐리어필름 위에 얇게 펴서 테이프상의 성형체를 얻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그림1에 나타내는 장치가 이용된다(1). 성형에 이용되는 슬러리는 장치내에 충진되어, 캐리어필름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블레이드와 캐리어필름의 간격 및 캐리어필름의 속도가 슬러리의 유출량, 즉, 두께를 결정한다. 그러나 닥트블레이드법에서..
2021.04.03 -
(Material) 결합제 각론 (세라믹용 바인더)
1. 수용성 결합제 1.1 단백질 1.1.1 카제인 탈지우유를 원료로 하고, 이에 염산을 가하면 백색침전하는데, 이를 산성카제인이라 한다 탈지유에 응고효소를 가하여 침전시키면 효소카제인이 생긴다. 카제인은 호르마린 또는 연화제를 가하여 혼화하고, 분쇄하여 이 분말을 가열가압하면 성형가능하다. 카제인은 흡습성이 크고, 다소 무르고, 유지, 에테르, 알콜에 녹는다. 우유중에 함유되아 있는 카제인은 천연에서는 칼슘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물에는 녹지 않으나, 나트륨염은 물에 녹고, 유화제, 안정화제로서 이용된다. 1.1.2 대두단백질 대두를 눌러 으깨서 여액에 간수 또는 MgCl2를 첨가하여 가열하면 대두유가 액중에 남고, 대두단백질은 응고한다. 카제인과 마찬가지로 호르마린처리를 하면 성형가능하고 대부분은 카제인..
2021.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