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kel(10)
-
중국전자재료용 금속분말메이커, 기술력과 가격을 무기로 일한진출
2/2/23 36Kr Japan 나노 수준의 금속 분말을 제조하는 중국 스타트업 신천신재료(Sinchin New Material)가 최근 시리즈 A+로 약 1억위안(약 19억엔)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출자한 5개사 중 일본 이나바타산업이 전략투자를 실시했으며 성허자본(Galaxy Capital), 선전담보집단(Shenzhen Credit Guarantee Group) 산하 선전시 중소담창투 등이 출자에 참여했다.조달한 자금은 주로 조직 확충이나 생산라인 확대, 해외시장 개척에 충당한다. 신천 신재료는 2017년 8월 설립됐으며 저장성 항저우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설립 초기에는 주로 3D 프린터용 금속 분말을 개발하고 있었다.2018년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업계의 강상강하 공급 부족이 계기가 돼 M..
2023.02.11 -
동방 티타늄 니켈 파우더 20% 증산, 94억엔을 들여 와카마츠 공장에 신라인
2/10/2023 철강 신문 동방 티타늄은 9일 니켈 파우더 증산 투자를 발표했다. 와카마츠 공장(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에 94억엔을 들여 니켈파우더의 신공장을 건설. 2025년도중에 영업 운전을 개시해 생산 능력을 20% 끌어올려,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전용의 공급 체제를 강화한다. 니켈파우더는 MLCC의 내부전극에 사용하는 것. MLCC는 전기·전자제품의 전원공급 안정화와 노이즈 억제라는 역할을 가지며 스마트폰과 PC, 차량용 전장품 등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MLCC 수요 환경은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통신기기 고기능화와 자동차 EV화, 자율주행화, 6G 실용화로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방 티타늄은 2017년 12월과 2021년 4월 니켈파우더 생산..
2023.02.11 -
JFE 미네랄 니켈 초미분 연산 1.5배로
22.12.14 Sankei News JFE 미네랄은 20억엔 이상을 투자해 니켈 초미분의 연산 능력을 2024년경 목표로 1·5배 정도로 확장할 방침입니다.스마트폰, EV 등의 수요 확대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용 니켈 초미분 수요가 확대, 현유능력으로는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우선 5공장의 부분 확장으로 극복하고 6공장을 신설합니다.수요의 성장을 보면서 그 앞으로의 증강도 시야에 넣고 있어 기능 소재 3개 기둥의 일각으로서 사업, 수익을 크게 늘릴 방침입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69ad9b5d08f8014c1dcf759b26eebb56d58c4dd9 JFEミネラル ニッケル超微粉年産1.5倍へ(日刊産業新聞) - Yahoo!ニュース JFEミネラルは20..
2022.12.24 -
제2장3절 내부전극용 Ni분말의 제조법(1항CVD법)
제2장 MLCC의 구조 및 재료 제3절 내부전극용 Ni분말의 제조법 제1항CVD법 JFE미네랄 주식회사 Saito 1. CVD법에 의한 초미분제조의 개요 MLCC의 내부전극에 이용되는 Ni 초미분의 공업적 제조방법은 액상법과 기상법의 2가지로 대별된다. 기상법은 나아가 물리적 방법(PVD법: Physical Vapor Deposition)과 화학적 방법(CVD법: Chemmical Vapor Deposition)으로 분류된다. PVD법은 금속 증발·응축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CVD법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Ni 가스의 응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CVD법은 기상의 화학반응을 이용한 고체표면상에서의 박막성장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항에서의 CVD법은 기상중에서 입자를 석출·성장..
2022.05.16 -
(Nano powder)Preparation of dense spherical Ni particles and hollow NiO particles by spray pyrolysis
J. Mater. Sci., 34, 1313 (1999) S. Che, K. Takada, K. Takashima, O. Sakurai, N. Mizutani 요약 고밀도 구형 Ni 입자를 H2–N2 분위기에서 질산 용액을 분무 열분해하여 만들었습니다. 표면이 거친 중공 NiO 입자가 저온에서 먼저 형성된 후 300˚C 이상의 H2에 의해 Ni로 환원되었습니다. 이후 니켈 결정체의 입자 내 소결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니켈 입자의 밀도를 증가시켰습니다. 대부분의 Ni 입자는 열분해 온도 1000˚C 이상에서 밀도가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N2 분위기를 사용했을 때, 속이 빈 NiO 입자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소결되지 않아 1200˚C에서도 밀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얻어진 고밀도 Ni 입자는 특히 열분해 ..
2021.08.21 -
(2021) MLCC material and Process technology(삼성전기 최재열개발팀장)
유튜브에 발표된 삼성전기 최재열개발팀장의 MLCC 개발관련 자료입니다 삼성전기 내부적으로 파우더 사이즈와 제품시트 두께를 기준으로 MLCC 세대를 4세대, 5세대 등 세대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양산수준은 0603 4.7uF 6.3V 정도로 유전체 파우더는 70나노, 시트두께 0.8um(소성수축후 0.47um) 정도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MLCC 제조의 핵심기술을 재료별 공정별로 분류하였습니다. 유전체는 세라믹재료, 내부전극은 금속재료, 외부전극은 금속재료와 글래스, 바인더 등 재료를 포함하여 전기, 전자, 기계 공학의 모든 지식이 합쳐져야 완벽해질수 있습니다 우선 유전체재료를 보면 BaTiO3의 내제화를 통해 미세 재료를 만들수 있으며 외부에서 구할수 없는 high-tetragonality BT를 제..
202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