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ability(9)
-
(2012) Murata Technology for commodification of small size MLCC with high capacitance for Space Application
https://www.verical.com/datasheet/murata-manufacturing-ceramic-multilayer-gcm188r11h104ka42d-432685.pdf 민생용과 우주용 MLCC의 체적용량 비교 초기고장을 줄이기 위한 개선점 IR열화제품의 분석 : 내부전극의 뭉침 내부전극의 평활도 개선필요 내부전극 Ni powder 개선 및 전극연결성 개선 성형시트의 포어 개선 미세구조의 조절 미세구조 개선을 통한 마모고장의 개선 전계하 IR열화메카니즘 : 산소공공의 이동 미세구조의 조절 희토류 원소첨가에 의한 산소공공 감소 억제 Core-Shell구조 박층 고용량 고신뢰성 MLCC 결론
2023.05.29 -
Microstructure regulation and failure mechanism study of BaTiO3 -based dielectricsfor MLCC application
https://doi.org/10.1142/S2010135X22500230 MLCC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전체는 BaTiO3 조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산소 결핍(VO'')의 이동으로 인해 적용 중에 불가피하게 성능 저하를 보입니다. 여기서, BaTiO3, (Ba0.97Ca0.03)TiO3, Ba(Ti0.98Mg0.02)O3, (Ba0.97Ca0.03)(Ti0.98Mg0.02)O3, (Ba0.96Ca0.03Dy0.01)(Ti0.98Mg0.02)O3 세라믹(각각 BT, BCT, BTM, BCTM 및 BCDTM으로 표시됨)은 고상 반응법으로 제조되었습니다. 10-20nm 폭의 쉘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입자(~200nm)가 관찰되었고 BTM, BCTM 및 BCTM의 비교적 평평한 유전 상수 온도..
2023.05.27 -
Exceptional reliability of MLCCs enabled by defect-engineered BaTiO3
일반적으로 BaTiO3 기반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의 신뢰성은 주로 하이드록실(OH-)에 의해 기여되며 CO3(2-)의 기여는 무시될 수 있다고 믿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이 작업에서 BaTiO3 기반 MLCC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데 Ba/Ti 비율과 CO3(2-)의 기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BaTiO3 파우더 기반 MLCC 소자 및 세라믹 칩의 구조 및 성능을 연구하였습니다. 세라믹 또는 MLCC의 결정 내 기공은 주로 소결 중 BaCO3의 분해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수열법 분말 및 그 변형 분말에서 유래한 세라믹에 의해 입증되었습니다. 열 자극이 아닌 비화학량론적 Ba/Ti에서 주로 발생하는 Ba 및 Ti 빈 공간의 점 결..
2023.05.27 -
제 4장2절 희토류와 치환사이트
1. BaTiO3계 내환원성 유전체 재료의 희토류 원소 첨가 효과 1990년대에 들러와 BaTiO3에 억셉터인 Mn이나 Mg에 추가하여, 희토류 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Ni-MLCC의 수명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 재료계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Pd전극품과 동등 이상의 고신뢰성을 확보하는 Ni-MLCC가 실현되었으며 박층 시트 프로세스 기술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MLCC의 소형화와 고용량화가 한번에 가속되었다. BaTiO3에는 Ba가 차지하는 12배위의 A사이트와, Ti 가 차지하는 6배위의 B사이트의 두 종류의 사이트가 존재한다. 첨가성분이 어느 사이트를 점유하는가는 각종양이욘의 이온반경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첨가성분의 전기적 특성이나 미세 조직에 대한 영향을 고찰함에..
2022.07.09 -
(고상Powder)High reliable non-reducible ultra-fine BaTiO3-based ceramics fabricated via solid-state method
Chaoqiong Zhu, Qiancheng Zhao , Ziming Cai, Limin Guo , Longtu Li , Xiaohui Wang 고성능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현대 전자 제품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수요가 많이 증가하였다. 오늘날 MLCC는 대용량, 소형화, 저비용, 초신뢰성, 고온 안정성이 발전 추세이다. MLCC에서 적층된 유전층은 소형화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두께가 1mm 이하로 감소하므로, 각 층 두께에 걸쳐 최소 5개의 알갱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유전 나노결정 세라믹의 입자 크기가 200nm 미만으로 감소게되었다. 일반적으로 나노 세라믹 파우더를 합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수행되는데, 그 중 고상법과 수열합성법이 유망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나노 세라믹 분말 합성법이..
2022.02.19 -
(2013)Introduction of Small Size MLCC to Aero-Space Application and its technology
13.09.25 Yuji Yamada Abstract 무라타는 이전에 IT용으로 사용되었던 박층 기술을 사용하여 우주용 소형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개발했다. 현재 자동차용 MLCC에서 선별하여 품질인증된 0.1uF에서 22uF까지의 5개의 제품을 출시하였다. 무라타는 소형과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 실현을 위해 박층 세라믹 시트 기술과 균일하고 정제된 내부 전극(Ni) 기술, 산소공공 제어 기술 등을 활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품 소개와 함께 기술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서론 무라타는 일본항공과 JAXA에서 POL(Point Of Load) DCDC 컨버터까지 소형 고용량 제품 개발 의뢰를 받았다.(그림 1) 유전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시험 조건 및 가..
202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