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tering(4)
-
(2022)Dy 및 Mg가 첨가된 BaTiO3에서 소결 온도가 미세구조와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231159494545&dbt=NART [논문]Dy 및 Mg가 첨가된 BaTiO3에서 소결 온도가 미세구조와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의 유전체 층에 사용되는 BaTiO3는 유전 특성의 온도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로서 희토류 및 Mg를 사용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소결 중 입자성장 및 치밀화 거동, scienceon.kisti.re.kr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의 유전체 층에 사용되는 BaTiO3는 유전 특성의 온도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로서 희토류 및 Mg를 사용한다. ..
2023.05.27 -
(2021)Reliability Analysis of Electronic Device by Using Synchrotron X-ray Nano-CT
セラミックス 56(2021)No. 1 Gaku OKUMA, Naoya SAITO, Kotaro MIZUNO and Fumihiro WAKAI 1. 서론 201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Spring-8, 유럽의 ESRF, 미국의 APS 등 세계 각국의 싱크로트론 방사광 시설에서 결상형 방사광 마이크로토모그래피 장치가 가동되어 방사광 X선 나노CT(나노토모그래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는 3차원 X선 현미경으로 기능합니다. 성능은 점차 향상되어 현시점에서의 화소(pixel) 치수는 50nm, 분해능으로 100nm에 달합니다. 이는 기존 산업용 X선 마이크로토모그래피 장치의 성능 한계를 훨씬 능가하여 기존에 불가능했던 3차원 미세구조의 가시화를 가능케 했습니다. Spring-8의 멀티스케일 CT는 광시야에서 저분..
2022.11.27 -
(Solid state reaction)고상반응법을 이용한 BaTiO3 합성 및 특성 평가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Vol. 33, No. 6, pp. 483-489 November 2020 김용진, 최문희, 신효순, 주병권, 전명표 Abstract: BaTiO3 powder was synthesized by a solid-state reaction using BaCO3 and TiO2. Different calcination temperatures (800℃, 850℃, 900℃, and 950℃) were set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properties of BaTiO3 powder.The synthesized BaTiO3 phase was confirmed to be a single pha..
2021.09.21 -
(Nano glass)저온소결을 통한 초고용량 MLCC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46 ~154, 2009. 손성범†·김효섭·송순모·김영태·허강헌 1. 서론 최근 전기/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및 다기능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이에 사용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MLCC)도 급격하게 소형, 고용량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유전체층은 점차 박층, 고적층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1005 size의 초고용량(4.7 μF 이상) MLCC 개발을 위해 1.5 μm 이하 두께의 BaTiO3 유전체층을 300층 이상 적층함으로써 용량 구현을 시도하고 있으며, 보다 소형의 초고용량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
202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