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ability(9)
-
(2019)박층대용량화/고신뢰화를 향한 세라믹 구조설계
172회 전자세라믹 프로세스 연구회 발표자료 (2019.6.22) 발표자: 나카무라 토모유키 발표순서는 입계제어 -> 입내제어 > 계면제어 MLCC 를 지탱하는 코어 기술과 제품 전개 체적용량의 향상과 유전체 시트의 박층화: 03A106은 ???? 절연파괴(BDV)와 절연열화(신뢰성 고장시간)과의 관계 절연저항 메카니즘 소개: 제조코스트를 낮추기 위해 귀금속 내부금속을 비금속 Ni로 변경하였으나 NI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환원분위기하에서 소성해야 함. 이로인하여 세라믹 내부 산소공공(빈자리)가 발생하고 신뢰성시험시 즉, DC전계하에서 산소공공이 (+)전하를 갖으므로 음극으로 이동한다. 음극근방의 산소공공 농도가 높아져 최종적으로 절연파괴에 이른다. IT 용 MLCC는 소형 대용량화가 필요하므로 유전체 ..
2021.10.18 -
(Ni electrode)Effect of alloying Ni inner electrodes
Effect of alloying Ni inner electrodes on the leakage current degradation of BaTiO3-base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Appl. Phys. Lett. 116, 132903 (2020) Shoichiro Suzuki, Shinichi Yamaguchi, Akitaka Doi, et al ABSTRACT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대부분 Ni 내부 전극과 BaTiO3계 유전체가 교대로 적층되는 전자 세라믹 부품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유용하기 때문에, 더 작은 치수와 더 향상된 용량의 MLCC를 얻으려는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원소와 Ni 내부 전극을 합금하여 MLCC의 누..
2021.09.05 -
(Seminar) MLCC의 대용량, 소형화를 지탱한 BT 세라믹 유전체재료의 기술개발에 대하여 - 격자결함제어기술의 시점에서
日 時 : 2017 年 9 月 9 日(土) 15:00~17:00 和田 信之 和田技術士事務所 技術士(化学部門) 元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1.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의 개요 1) 콘덴서에 대해서 대표적 콘덴서로는 ①알루미늄 전해 ②탄탈전해 ③적층 세라믹스가 있으며 ① ②는 각각의 금속산화막(비유전율:8~30)을 유전체로 하고 전해액을 이용합니다.③은 금속산화물(ex. BaTiO3의 비유전율: 3000 이상)을 세라믹 유전체로 사용한 전고체 콘덴서다. 2) MLCC 에 대해서 MLCC는 얇은 층 성형한 생세라믹 시트 표면에 내부 전극 페이스트를 패턴인쇄하여 다층 적층화하고 이를 소성한 것입니다. MLCC는 핸드폰으로 700개 정도, 노트북으로 800..
2021.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