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Sintering)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
1. 머리말 최근에는 대부분의 전자부품이 세라믹으로 만들어지며, 다른 가열방식(연소가열, 유도가열, 마이크로파 가열 등)도 있으나, 대부분 저항가열이 채용되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1) 사용온도 범위가 넓고, 고정밀도의 온도관리가 가능하다. 2) 열효율이 높으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3) 중성, 환원, 진공 등 로 분위기 제어가 용이하다. 4) 폭발 및 화재 걱정이 적고, 안전성이 높다. 또한, 일반적인 전자부품의 제조 플로우 차트는 다음과 같다. 원료합성 → 가소 → 분쇄 → 조립 → 배합 → 성형 → 탈바인더 → 소성→ 가공 → 검사 이러한 공정 중에서, 저항로가 사용되는 것은 주로 가소, 탈바인더, 소성이다. 여기에서는 그 각각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한다. 2..
2021.04.03 -
(De-bindering)탈바인더 기술과 그 최적화
(株) 村田製作所 齊藤充浩 머리말 전자재료 세라믹스의 원료는,일반적으로 점토등의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고순도의 화학물질 분말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로 적셔도 가역성을 가지지 않고, 이것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결합제(바인다)의 첨가가 필요하다. 전자 세라믹스 성형용 바인다로서는, 소결 후에 금속 이온 등의 불순물을 잔류하지 않게, 폴리머 등의 유기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바인다를 세라믹스의 소결 전에 제거하는 공정을 탈바인다(탈지) 공정이라고 한다. 세라믹스를 이용한 전자 부품으로서는, 적층세라믹 콘덴서,하이브리드 집적회로용 기판 등의 다층전기회로 기판, 적층형 압전 액츄에이터등, 세라믹스의 내부에 금속의 전극이나 전기적 배선(이하 내부 전극이라고 부른다)을 가지는 구조의 것이 많다. 이러한 부품..
2021.04.03 -
(De-bindering)탈바인더 공정에서 열분해와 그 평가
理學電機 (株) 有井 忠 머리말 일반적으로 각종 세라믹은 각각의 원료 분말과 여러 바인더를 잘 혼합하여, 성형기에서 성형한 후, 소성하여 제조된다. 이 유기 바인더는 소성 전에 요구된 소정 형상유지를 위해 세라믹 성형체에 강도와 가소성을 주므로, 이 바인더는 세라믹의 취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불가결한 것이다. 이 때의 유기바인더의 제거는 [바인더 burn out]라고 불리며, 폴리머의 바인더의 열분해와 증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사출성형법에서는 바인더의 량이 다른 성형법(주물성형, 프레스성형)과 비교해서 5~10배(약50vol%정도)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소성전에 탈바인더(탈지)를 행하지 않으면, 성형품의 파손을 초래하는 것으로 된다. 일반적으로, 탈지공정에서는 3일간 이상을 요하고, 서서히 상..
2021.04.03 -
제1-4장 1절 MLCC용 NI-paste 최신기술동향
1. 머리말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소형ㆍ대용량화는 굉장하다. 주위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전기 특성의 변동이 작은 B특성의 경우, 정전용량 10㎌을 실현할 수 있는 크기가 1998년에는 3216타입(3.2mm×1.6mm×1.6mm)였던 것이 2001년에는 2012타입(2.0mm ×1.25mm ×1.25mm) 이 개발되었고, 2003년에는 1608타입(1.6mm×0.8mm×0.8mm)가 개발되었다. 이것을 단위 체적당 정전용량으로 비교하면 5년간 1.2㎌/mm3에서 10㎌/mm3으로 약 8배나 커졌으며 MLCC의 소형ㆍ대용량화을 향한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이 MLCC의 소형ㆍ대용량화에는, 당연히 유전체 박층화가 중요하며 현재 그 두께는 1.0㎛까지 박층화되고 있다. 그것과 비교해 전극막 ..
2021.04.03 -
(Paste)잉크제조법과 생산기술
印刷インキ基礎講座, 色材,71〔1〕,57―67(1998) 野口典久 1. 서론 잉크업계에서는 지금까지 품질설계라고 하면 수지, 니스 설계 및 배합기술이 중심이었지만, 품질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규정한 ISO9000이나 환경 매니지먼트의 요구사항을 규정한 ISO14000에서도 나타나 있듯이 최근에는 제조법이 품질을 크게 좌우하는 요인으로서 이전보다 중요시되고 있다.그리고, 잉키의 제조법 및 생산 기술도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목표로 하는 것은 "하드웨어(기계적) 및 소프트(제조법 및 정보의 관리 기술 etc) 양면에서 연구해, 설계 품질을 채운 제품을 안정적으로 해 불균형 없이 저렴(이니셜 및 러닝 코스트 모두)에 단시간에 안전하게, 그리고 환경을 더럽히는 일 없이 생산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한다"는 것에 ..
2021.04.03 -
(Paste)용제계에서의 안료분산
色材, 77〔8〕 (2004) 小林敏勝 1. 용제계에서의 안료분산의 특징 안료분산은 도료나 잉크, 그림물감 등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공정이며, 그 좋고나쁨은 상품의 광택이나 착색력, 은폐력, 채도 등의 광학적 성질, 유동성과 레벨링성 등의 레올로지적 성질, 침강이나 부츠 발생, 광차, 증점 등의 상품안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통상, 안료 메이커로 제조된 안료는, 건조해, 1차 입자(주 1)가 다수 응집한 상태로 안료 분산 공정에 제공된다.이것을, 비히클 안에서 이상적으로는 1차 입자의 상태까지 해응집해 안정화시키는 공정이 안료 분산 공정이다(주 2).따라서 예를 들어 평균 입자경이 100nm의 안료분산계가 필요한 경우에는 1차 입자경이 100nm 이하인 안료분체를 입수해야 한다. 최근의 고..
2021.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