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제4장 1절 전극재료 합성기술 - 액상법
Daiken Ueyama 4.1 액상법(습식화학환원법) 서론 유전체에 산화티탄(TiO2)을 사용한 디스크 콘덴서가 1930년대에 독일(HESHO)에서 개발되었다. 그것을 받아 1935년에는 일본에서도 川端제작소나 村田(murata)제작소등의 회사가 차차 창업하여 디스크 콘덴서 생산을 시작하였다. 한편 1940년대가 되면서 산화티탄 콘덴서의 개량을 위해, 산화티탄(TiO2)에 산화 바륨(BaO)이나 산화마그네슘(MgO), 산화 칼슘(CaO) 등을 복합화하는 연구가 성행하였다. Waku등은 고유전율을 갖는 티탄산바륨을 발명하였다. 그 발명으로 인해 세라믹 콘덴서의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그 후 콘덴서의 편리성은 텔레비젼를 시작으로 각종전자기기로의 수요를 불러 일으켰다. 그래서, 콘덴서 maker에서..
2021.04.03 -
(Quality) 세라믹 콘덴서의 신뢰성
9.1 개요 전자회로는 휴대전화, 사무기기, 가전제품 등과 같이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서 작동되는 기기 외에도 항공, 우주, 철도, 자동차, 해저케이블, 용광로, 화학 플랜트와 같은 가혹 조건에서 작동하는 설비, 생명과 직접 관계있는 의료기기, 인체에 삽입되는 기기 등 다양한 제품 안에 포함되어 있다. 전자 회로의 사용 환경이나 조건 또한 다양하며, 용도에 따라 전자기기의 설계나 제조, 부품에 요구되는 신뢰성 수준도 다양하다. 교환기, 해저케이블과 같이, 20년 이상 장시간동안 연속해서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기기가 있는가 하면, 로케트와 같이 잠깐동안만 정상 작동하면 되는 기기도 있다. 세라믹 콘덴서는 디스크형 뿐만 아니라 적층형도 이들 전자기기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환경 및 조건 또한 ..
2021.04.03 -
(Quality)고온가속수명
1. 고온가속수명의 평가방법 콘덴서의 경우 절연저항 혹은 그 수명이 신뢰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원래 절연체이지만 뭔가의 이유로 고장난 경우, 저항이 낮아지면 전류가 흘러 전자기기의 중대한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적층세라믹 콘덴서의 경우, 다른 콘덴서보다도 절연저항의 수명이 압도적으로 길어야 하며, 그 신뢰성의 확보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콘덴서의 절연저항의 고온부하수명에 대해서는 JIS, EIAJ, MIL-STD등의 규격에 의해 시험조건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JIS-C6429에 의하면 85℃에서 정격의 200%에 해당하는 전압을 1000시간 인가한 후 CR곱이 20MΩF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신뢰성을 평가하려면 일반적으로 매우 장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2021.04.03 -
제6장1절 세라믹 콘덴서의 소성기술과 구조결함제어
1. Delamination 콘덴서의 신뢰성에서 특히 중요한 항목으로, 절연저항(IR) 및 용량의 경시변화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용량의 경시변화는 기기의 성능저하를 가져오게 하지만, 기기의 파괴에 이르는 일은 없다. 이에 비해 IR은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경우에는, 회로전체가 고장에 이르게 되므로 short mode의 고장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고장시 오픈모드로 되는 fuse가 붙은 칩 콘덴서가 수많이 제안되었지만, 현재 실용화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Cost가 매우 높았던 것이 그 이유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콘덴서의 제조공정의 엄격한 관리로서, IR불량 및 IR열화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IR불량의 원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delamination과 crack이다. 이..
2021.04.03 -
(Sintering)RHK의 진보
가열로, 열처리로로 최근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로라하스킬른은 20세기 초반에 이탈리아에서 타일 소성용으로 고안되었다. 종래 폭넓게 사용되어 왔던 터널킬른 등의 연속로에 비해, 소성작업 및 조정적인 면에서 Flexibility가 크며, 에너지효율적인 면에서도 뛰어나다. 최근 합리화(合理化)에 대한 제조업의 요구, Flexible한 사용조건 및 에너지 절감에 대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롤러하스킬른의 이용확대가 급격화 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부터 타일소성용, 식기소성용으로 급속히 보급되었으며, 그 후 여러 방면으로의 용도 개발이 진행되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단시간 소성을 들 수 있으며, 온도 정밀도적인 면에서도 다른 로에 비해 뛰어나고, 품질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소성장치라는 면에서 사용예..
2021.04.03 -
(Sintering) Rack 소성 시스템
加 藤 孝 保 Takayasu KATO (Marujyu Corp.) 1. 랙 소성 시스템 근년, 전자부품 세라믹스 제품의 소형화․고도화가 진전되고, 그 위에 그들을 소성하는 노내의 분위기에도 종래의 대기분위기에서 각종 분위기 가스를 노내에 도입한 소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여기에서 소개하는「랙(rack) 소성 시스템」은 그와 같은 전자부품 세라믹스 중에서도 Ni내부전극의 BME 적층칩콘덴서의 소성에 매우 유효한 소성 방법이다. 2. 랙 소성시스템의 기본 개념 소형․고도화 한 전자부품세라믹스에 극한 되지 않고, 노내에서 제품을 소성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제품수율이 좋고 가능한 한 많은 제품을 소성하는 것이며, 불필요한 내화갑․세터를 되도록 적고, 가볍게 하여 본래의 목적인 제품을 소성하기 위한 에너지..
2021.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