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MLCC)박층 고정격 전압용 X7R 특성 재료의 개발
1. 머리말 내부전극의 비금속화 (低cost化)와 함께, 귀금속 내부전극의 다층화에 있어서 문제로 되어 있던 cost면을 개선할 수 있었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박층 다층 대용량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체층 두께가 2㎛정도로, 적층수는 400층을 초과하는 것도 실용화되고 있다. 비교적 넓은 온도범위에서의 용량변화율과 신뢰성을 보증한 X7R특성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소형화, 대용량화, 高定格電壓化의 요구는 점점 절실하게 되고 있고, 신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BaTiO3를 base로 한 X7R 특성의 유전체 재료는 core-shell 구조를 보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유전체층을 박층화하여도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BaTiO3 원료의 미립화, 磁器의 fine grain..
2021.04.03 -
(MLCC)재료적 관점에서 생각한 콘덴서의 소형대용량화
차조노 : 태양유전 종합연구소 재료개발부, 2005년 1월23일 전파신문 서론 휴대 전화나 컴퓨터 등 소형화·고기능화에 따른 사용되는 전자 부품에도 소형화·고기능화가 마찬가지로 요구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은 유전체와 내부 전극을 번갈아 샌드위치 하도록 만든 구조를 갖는다. MLCC의 소형화에 따른 용량 저하는 유전체 두께를 얇게 만들어 적층 매수를 늘림으로써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얇은화 다적층화 기술로 MLCC의 소형화·대용량화를 위하고, 각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다적층화는 전극 사용량의 증대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을 내리는 목적으로 비싼 귀금속이 아니라 값싼 비금속이 대용량 MLCC에서는 사용한다. 내부 전극에 비금속인 Ni를 채용한 Ni― MLCC이 이제는 대용량 M..
2021.04.03 -
(MLCC)Ni전극 적층세라믹콘덴서 X5R특성시리즈
伊藤考喜:TDK-MCC 전파신문 2004년 1월24일 ◆ 서론 고도 정보화 사회, 멀티 미디어 화가 급속히 진전하면서 전자 기기의 휴대화, 퍼스널화가 진행되어, 컴퓨터 및 휴대 전화 등 전자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들 전자 기기는 더 고성능화, 소형화가 진행되어, 가격 경쟁도 뜨겁다. 이런 상황에서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수동 부품에 더 저렴한, 소형 고성능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 전극은 기존 제품의 내부 전극으로 사용됐던 Pd(팔라듐)등의 비싼 귀금속부터 Ni(니켈)등의 비금속에 대체하여, 대폭적인 저가화를 실현했다. 또 소자 형상의 소형화, 고 정전용량화를 위해 유전체 층의 박층화와 수백층에 달하는 다층 적층 제품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번..
2021.04.03 -
(MLCC)환원성 분위기하에서의 유전체 소성
Dielectric materials for sintering in reducing atmospheres Detlev F.K. Henning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21 (2001) 1637–1642 초록 비금속(BME) Ni을 내부전극으로 하는 MLCC가 귀금속 Pd/Ag 전극을 사용하는 MLCC와 유사한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다. BME MLCC의 사업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것은 산소공공의 이동에 의한 세라믹의 퇴화현상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BME MLCC의 연구 개발에 관한 그간의 역사에 대해서 신뢰성 측면에서 언급하고자 한다. 1. Introduction MLCC는 표면실장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수동부품(저항, 콘덴서, 코일 등의 수동부품이 혼자..
2021.04.03 -
(MLCC)X7R 특성 적층 세라믹 콘덴서 재료의 소결 중 미세구조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Sintering Process of X7R MLCC Materials Yoshinori Fujikawa, Yuji Umeda and Fumikazu Yamane, TDK J.J pn. Soc.P owder Powder MetallurgyV ol.51, No.12, 2004 1. 서론 최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박층 다층화가 진전되고 있다. 더불어 유전체에 대해 비유전율 및 절연저항값, 부하수명 특성등의 제 특성이 더욱 우수한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유전체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유전체층 세라믹스의 미세구조를 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세라믹스 원료 뿐만이 아니라, 제조공정의 최적화는 필수적이다. 소성 공정은 세라믹스의 미세구조를 결정하는 요소기술의 하나로, 소성 중의 ..
2021.04.03 -
(MLCC)NI전극 대용량 세라믹 적층 콘덴서
Tsunoda Syuuichi, Yamaoka Nobudatsu, Taiyo Yuden 1. 서 론 1985년 9월 이후 급격한 엔고 달러 약세에 둘러싸여 국내의 메이커에 있어서는 제조 cost을 절감해야하는, 무단한 노력을 해야 하는 실정이다. 콘덴서 분야도 예외가 아니고, 제품단가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생산효율의 향상, 원재료 cost의 절감 등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최근 세라믹 콘덴서의 형상에 관련된 동향으로서는 輕薄短小化, 고밀도실장화의 요구 때문에 리드선이 없는, 소위 칩으로의 이행이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그 중에서 세라믹 적층콘덴서에서는 세라믹 유전체를 종래보다 치밀하게 소결시켜서, 유전체 한층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하여 단위 체적당 용량을 보다 크게하는 방향으로 검토되고 있다. 그 결과..
2021.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