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Nickel paste)초고적층 MLCC용 Nano-Layer 내부전극 paste 개발
1차년도 기술개발 목표 기술개발내용 가. Nano size Ni powder 합성 기술 개발 1) 플라즈마법을 통한 Nano size Ni powder 합성 및 powder 특성 평가 그림 8.과 그림 9.는 RF 방식의 thermal source를 사용하는 플라즈마 Nano 합성 장치 및 모식도이다. DC플라즈마 방식으로 Ni Nano powder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니켈을 전극으로 이용하여 발생하는 플라즈마를 Ni vapor 형성의 thermal source로 사용하지만 RF방식에서는 전극이 없이 반응기 외부 코일에 높은 전기장을 걸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며 Ni source는 carrier gas를 통하여 플라즈마 설비로 투입된다. DC 플라즈마 설비와 마찬가지로 10,000℃ 이상의 매우 높은 반응..
2021.07.24 -
(Nickel paste) MLCC 내부전극용 나노 니켈 페이스트 개발
제 3장 사업성과 제 1절 기술적 성과 1. Ni Powder 나노 합성 및 특성 평가 그림 4는 RF방식의 thermal source를 사용하는 플라즈마 nano합성 장치 및 방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DC 플라즈마 방식으로 Ni Nano powder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니켈을 전극으로 이용하여 발생하는 플라즈마를 Ni vapor형성의 thermal source로 사용하지만 RF방식에서는 전극이 없이 반응기 외부 코일에 높은 전기장을 걸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며 Ni source는 carrier gas를 통하여 플라즈마 설비로 투입된다. DC 플라즈마 설비와 마찬가지로 10,000°C이상의 매우 높은 반응온도설비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원료의 제약이 없으며 금속 Ni이 아닌 니켈염 slurry나 N..
2021.07.24 -
(Nickel paste) 니켈 입자와의 균일 혼합 기술의 개발
제3장 내부전극재료 니켈 입자와의 균일 혼합 기술의 개발(Ni 입자 표면에 대한 공재의 표면처리) 3-1 니켈 입자의 분산 기술 확립 1. 니켈입자의 평가 100nm 이하의 니켈 입자는 작성법이 다른 2개사로부터 공급 가능하였다.두 회사의 니켈 입자의 DBET(비 표면적 지름)는 80nm로 동일하나 T 사의 경우 입경 편차가 크고, 대형 입자가 존재해 전극층의 얇은 층화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어 본 개발에서는 S사제의 니켈 분말을 사용한다. S사의 니켈입자는 제조공정 및 유기용매 중에서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지방족 아민의 하나인 메틸아민(CH3NH3)으로 표면이 처리되어 있다.열분석장치(TG-DTA)에서의 메틸아민 정량결과는 니켈에 대해 약 2 중량 %였다. 2016년도 전략적 기반기술 고도화 연계 ..
2021.07.24 -
(Nickel powder) Improved Nickel Powder for Small Case Size MLCC with High Capacitance
JFE TECHNICAL REPORT No. 6 (Oct. 2005) 1. 서론 JEF 미네랄은 니켈 초미세 분말을 제조하는데, 결정도가 높고 샤프한 입자 크기 분포 및 높은 순도 등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니켈 초미세 분말은 그림 1과 같이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 내부 전극에 주로 사용된다. MLCC의 내부 전극은 니켈 초미세 분말를 유기용매를 이용해 페이스트로 만들고 준비된 페이스트를 얇은 층으로 유전체 층에 인쇄한 다음 이를 적층하여 가소 및 소성하여 MLCC를 제작한다. 앞서 언급한 장점 때문에 JEF 미네랄의 니켈 초미세 분말은 전기적으로 연속적이고 균질한 박막 전극을 형성하며, 층당 니켈 중량이 감소하면서 MLCC의 정전 용량 감소가 작습니다. JFE미네랄은 이 같은 장점을 ..
2021.07.24 -
(Nano fiber) Electrospinning and Nanofiber
KTDI Info-Tex 이준희 선임연구원 KTDI 수송방재섬유연구팀 T : 053-560-6532 e-mail: leejh@textile.or.kr 1. 서론 전기 방사(electrspinning)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액체 상태의 고분자용액을 ㎛∼㎚의 직경을 가지는 연속상의 첨유를 구현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전기 방사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초에 Reneker와 Rutledge 의 연구그룹에 의하여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많은 종류의 유기 폴리머가 나노섬유로 전기방사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그 이후로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크게 증가하였다. 전기방사는 기존에 알려진 자기조립(Self assemly), 상분리(Phase se..
2021.07.17 -
(Dispersion) 응집 나노입자를 비응집상태로만드는 분산화기술의개발
1. 기술의 특징 기상중에서 합성한 나노 입자는 자연스럽게 물리 응집해 버린다. 그래서 물리 응집한 나노입자를 기상 속에서 비응집 상태로 분산시키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종래, 입경이 큰 마이크로 입자에 대해서는, 그것을 분산화하기 위한 기술이 존재했다. 응집하기 쉬운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에 대해서는 기존법을 적용할 수 없다. 2. 기술의 개요 나노 입자의 특징으로서 응집해 버리는 결점이 있다. 나노 입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응집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리 응집된 나노 입자에 대하여 응집 입자들을 충돌시키는, 응집 입자들을 드라이아이스 입자와 충돌시킴으로써 응집 입자들을 비응집 상태로 분산시키는 데 성공했다. 고효율 비응집 나노 입자로의 분산화 기술로서 공업적으로 응용할 ..
2021.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