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2021)전자부품 산업과 나노기술 (삼성전기 연구소장 이시우전무)
https://www.youtube.com/watch?v=NAd9O_xxPck MLCC와 카메라모듈제품을 사례로 나노기술을 설명합니다만 MLCC만 캡쳐해봅니다 파란색 표시한 부분이 나노기술이 필요한 부분.. 1) 유전체 파우더 - 박막 유전체를 위한 미립파우더(100나노) : 입자균일, 내부결함 제거 -> 고결정성 - 첨가제도 수십나노 사이즈 - 파우더 분산, 코팅기술 2) 내부전극 - 박층 내부전극: 고결정성 , 미립 균일 입자 - 소결지연제로 공재첨가(BT) 3) 외부전극 - 수나노 CU입자, glass - 두께 균일화 4) 소성기술 - 치밀화 및 입성장 콘트롤 - 산소Vacancy제거 5) 측정분석 - 0603 MLCC의 32억개 입자관리
2021.08.28 -
(Powder Coating) Sputter를 이용한 Powder 코팅
http://www.material-sys.com/content41/ 이런 설비로 파우더를 코팅하면 좋을 듯하여 웹페이지를 번역해둡니다 -------------------------------------------------------------- 분말 스패터란 일반적으로 판상의 시료, 큰 벌크 등에 대해서만 행해지고 있는 스패터링을 미립자에 대해서 실시하기 위해서 특화된 기술입니다.다각 배럴 내에 기재가 되는 분말을 투입하여 회전시키면서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균일적이고 효율적으로 분말에 코팅합니다.분말코팅은 촉매, 화장품 원료, 장식용, 세라믹 원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최근 리튬이온전지 재료 제작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토요시마 제작소에서는, 토야마 대학 아베 교수와 공동 연구를 거치고, 분말..
2021.08.28 -
(2018)무기고체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Li2차전지의 개발
TRC News 201806-01 (June 2018) 大阪府立大学 大学院工学研究科 物質・化学系専攻応用化学分野 教授 辰巳砂 昌弘 (요지) 고안전성과 고에너지 밀도를 겸비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로서 무기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 고체 리튬 2차전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개발해 온 유리계 고체 전해질, 비정질 전극활물질을 이용한 전 고체전지에 대해 소개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설명하겠습니다.(본 논문은 2017년 12월 1일 개최된 당사 주최 '제3회 축전지 사용자 미팅'에서 특강을 바탕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오늘은 주로, 저희 연구실에서 임하고 있는 무기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 고체 리튬 2차전지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무기 고체 전해질에는 산화물계, 황화물계가 있어, 그것들이 지..
2021.08.28 -
(Nano powder)Preparation of dense spherical Ni particles and hollow NiO particles by spray pyrolysis
J. Mater. Sci., 34, 1313 (1999) S. Che, K. Takada, K. Takashima, O. Sakurai, N. Mizutani 요약 고밀도 구형 Ni 입자를 H2–N2 분위기에서 질산 용액을 분무 열분해하여 만들었습니다. 표면이 거친 중공 NiO 입자가 저온에서 먼저 형성된 후 300˚C 이상의 H2에 의해 Ni로 환원되었습니다. 이후 니켈 결정체의 입자 내 소결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니켈 입자의 밀도를 증가시켰습니다. 대부분의 Ni 입자는 열분해 온도 1000˚C 이상에서 밀도가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N2 분위기를 사용했을 때, 속이 빈 NiO 입자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소결되지 않아 1200˚C에서도 밀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얻어진 고밀도 Ni 입자는 특히 열분해 ..
2021.08.21 -
(Nano glass) Scaling up of Nano-powder Collection in the Process of Ultrasonic Spray Pyrolysis
World of Metallurgy – ERZMETALL 70 (2017) No. 2 5 Gözde Alkan, Fabian Diaz, Greg Matula, Srecko Stopic, Bernd Friedrich 1. 서론 나노분말 합성은 지난 10년 동안 큰 주목을 받았지만, 산화물에 대해서만 그리고 화학적 경로를 통해서만 생산되었습니다. 금속 또는 금속/산화합물 시스템을 목표로 할 때는 레이저 절제 또는 초음파 스프레이 열분해(USP)와 같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두 방법 모두 지금까지 실험실의 장비를 확장하는 일은 없었으며, 저자들은 DFG(Deutche Forschungsgesellschaft)의 독일 공적 자금을 활용하여 공정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실험실의 성과를 이전함으..
2021.08.21 -
(Nano powder)슬러리 분무열분해에 의한 초미립 티탄산 바륨 분말 제조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37~145, 2009. 이종호†·허강헌·이정수 1. 서론 최종 세라믹 제품의 성능은 중간 제조 과정에도 영향을 받지만, 특히 출발 물질인 세라믹 분말의 선택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세라믹 분말의 성질은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최근 칩부품의 소형화, 고기능화 요구에 의한 박층화 및 고적층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더욱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모재 분말이 요구되고 있다.1) 이와 같은 경향은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MLCC)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유전층에 사용되는 모재의 입자가 작아질수록 유전율이 감소되고, core-shell을 구현하기 위한 첨가상들도 함께 미립화되어야 하기 ..
202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