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Dispersion)초미립자용 분산제의 개발
HARIMA Quarterly, No.93, 2007 樹脂・化成品事業部 技術開発部 第三グループ 笹倉敬司, 北嶋 裕 1 서론 분산 기술은 종래부터 당사가 관여해 온 잉크, 도료 분야에서 색을 잘 표현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현재는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컬러 필터 등에도 응용되어 투명성을 올리기 위한 미립화 기술로 변천해 오고 있다.그리고,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산 기술은 나노테크놀로지에 관련된 것이며, 초미립자 분산으로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현재 나노기술을 이용한 신기술을 창출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신에너지 산업기술 종합개발기구(NEDO)가 명확한 로드맵을 작성해 공표하고 있다. 나노테크놀로지란, 초미세한 나노미터 오더의 입자(초미립자)가 벌크시..
2021.09.20 -
(Dispersion)안료표면의 화학적 성질과 분산 안정성평가
DIC Technical Review No.5/1999 石森 元和(Ishimori Motokazu) 1. 서언 안료를 최적 분산시킨다는 것은 (1) 안료를 분산 매체로 젖시고[wetting], (2) 전단력 등을 더해 목적의 크기까지 세세하게 하여[미세화], (3) 그 상태를 유지하는[분산 안정화]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는 이들 과정이 각각 따로따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안료와 매체를 분산기 안에 넣고 분산했을 경우 안료가 매체에 젖는 동시에 미세화가 시작되고 또한 미세화된 안료 입자가 응집하여 응집한 입자가 더욱 미세화하는 복잡한 과정을 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Fig.1). 매체가 플라스틱과 같은 상온에서 고체인 경우에는 플라스틱을 용융상태에서 안료 분산하고, 그 후에 냉각함으로써 분산상..
2021.09.20 -
(Powder) Enhanced size uniformity and dispersibility of BaTiO3 nanoparticles by hydrothermal synthesis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ol. 30, No. 3 (2020) 91-95 조호연, 박병남 요 약 본 연구는 BaTiO3 나노입자의 용액 공정의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성 시간과 온도 증가를 통한 입자들의 핵생성 속도 및 확산 속도를 동시에 증가시켜 수열합성을 진행하였다.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20 nm 이하 균일한 크기의 BaTiO3 나노입자를 oleic acid 리간드를 매개로 180oC, 30시간의 조건에서 추가 공정 없이 합성하였다. 수열합성을 저온 에서 짧은 시간 동안 진행하였을 시 입자의 응집과 크기의 불균일함을 확인하였으며, 고온에서 장시간 진행하였을 시 입자가 잘 분산되고 크기가 균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2021.09.19 -
(Powder)A Study on th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dditives Coated BaTiO3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89~199, 2009. 박재성† ·김영태·허강헌·한영호 1. 서론 BaTiO3는 multilayer ceramic capacitor(MLCC), thermister, transducer 등의 세라믹 조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이 다. 대표적인 수동부품인 MLCC의 경우, 전자기기의 소형 화에 따른 수동부품의 downsizing을 구현하기 위해 유전체 두께는 얇아지고 그 적층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 이고 있다. 유전체층의 두께 감소를 위해서는 보다 작은 size(nano size)의 BaTiO3를 사용해야 하며 nano size의 BaTiO3를 사용할 경우 particle의 균일한 분산은 더..
2021.09.19 -
(Powder)Synthesis of 100 nm BaTiO3 by Solid-state Reaction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70~174, 2009 김정환† ·정한승·조준엽·홍정오·김영태·허강헌 BaTiO3 powder was synthesized by the solid-state reaction of fine BaCO3 and TiO2 raw materials. Fine grinding media of 50 and 300 microns were used for obtaining fine particulate mixture of BaCO3 and TiO2 with high homogeneity. Effect of the size of grinding media on the synthesis mechanism of BaTiO..
2021.09.17 -
(Dispersion) 고도 안료 분산 시스템의 연구 개발
도료의 연구 No143(4) 2005 생산기술 연구부 쿠라모토 무츠오 (요지) 요지 도막의 고 선영성, 고 의장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안료 입자의 보다 미세 분산이 요구되고 있다.그에 따라, 안료 분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져, 투입 에너지도 커지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경향은 도료의 수성화에 따라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당사에서는 생산 리드타임, 안료분산에 필요한 에너지(전력)를 대폭 삭감함과 동시에 보다 고도의 안료분산 달성을 목적으로 효율적인 고도 안료분산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그 결과 φ0.1mm 미세 미디어를 사용한 비즈 밀을 통한 대유량 순환 분산 시스템을 개발하여 안료의 고분산화와 함께 분산 에너지의 절감 및 분산 시간의 단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1. 서론 안료 분산에 관..
202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