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cc(119)
-
(Powder)High reliable non-reducible ultra-fine BaTiO3-based ceramics fabricated via solid-state method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829 (2020) 154496 Chaoqiong Zhu, Qiancheng Zhao, Ziming Cai , Limin Guo , Longtu Li, Xiaohui Wang Abstract 적층 유전체 두께가 1㎜ 미만인 초박형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현대 전자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입자 크기를 150nm 미만으로 하는 유전체 재료를 준비하는 것은 큰 과제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결정체 비환원성 BT 기반 세라믹을 각각 제조하기 위해 고상 반응법, 수열합성법, 수열합성법후 열처리(850C)로 제조한 초미세 BaTiO3(BT) 분말(120nm 이하)을 제조하였다. 합성법이 미세구조, 전기적 성능 및 ..
2021.09.04 -
(Nano powder)Preparation of dense spherical Ni particles and hollow NiO particles by spray pyrolysis
J. Mater. Sci., 34, 1313 (1999) S. Che, K. Takada, K. Takashima, O. Sakurai, N. Mizutani 요약 고밀도 구형 Ni 입자를 H2–N2 분위기에서 질산 용액을 분무 열분해하여 만들었습니다. 표면이 거친 중공 NiO 입자가 저온에서 먼저 형성된 후 300˚C 이상의 H2에 의해 Ni로 환원되었습니다. 이후 니켈 결정체의 입자 내 소결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니켈 입자의 밀도를 증가시켰습니다. 대부분의 Ni 입자는 열분해 온도 1000˚C 이상에서 밀도가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N2 분위기를 사용했을 때, 속이 빈 NiO 입자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소결되지 않아 1200˚C에서도 밀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얻어진 고밀도 Ni 입자는 특히 열분해 ..
2021.08.21 -
(Nano glass) Scaling up of Nano-powder Collection in the Process of Ultrasonic Spray Pyrolysis
World of Metallurgy – ERZMETALL 70 (2017) No. 2 5 Gözde Alkan, Fabian Diaz, Greg Matula, Srecko Stopic, Bernd Friedrich 1. 서론 나노분말 합성은 지난 10년 동안 큰 주목을 받았지만, 산화물에 대해서만 그리고 화학적 경로를 통해서만 생산되었습니다. 금속 또는 금속/산화합물 시스템을 목표로 할 때는 레이저 절제 또는 초음파 스프레이 열분해(USP)와 같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두 방법 모두 지금까지 실험실의 장비를 확장하는 일은 없었으며, 저자들은 DFG(Deutche Forschungsgesellschaft)의 독일 공적 자금을 활용하여 공정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실험실의 성과를 이전함으..
2021.08.21 -
(Nano powder)슬러리 분무열분해에 의한 초미립 티탄산 바륨 분말 제조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37~145, 2009. 이종호†·허강헌·이정수 1. 서론 최종 세라믹 제품의 성능은 중간 제조 과정에도 영향을 받지만, 특히 출발 물질인 세라믹 분말의 선택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세라믹 분말의 성질은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최근 칩부품의 소형화, 고기능화 요구에 의한 박층화 및 고적층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더욱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모재 분말이 요구되고 있다.1) 이와 같은 경향은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MLCC)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유전층에 사용되는 모재의 입자가 작아질수록 유전율이 감소되고, core-shell을 구현하기 위한 첨가상들도 함께 미립화되어야 하기 ..
2021.08.21 -
(Nano glass)저온소결을 통한 초고용량 MLCC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46 ~154, 2009. 손성범†·김효섭·송순모·김영태·허강헌 1. 서론 최근 전기/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및 다기능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이에 사용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MLCC)도 급격하게 소형, 고용량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유전체층은 점차 박층, 고적층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1005 size의 초고용량(4.7 μF 이상) MLCC 개발을 위해 1.5 μm 이하 두께의 BaTiO3 유전체층을 300층 이상 적층함으로써 용량 구현을 시도하고 있으며, 보다 소형의 초고용량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
2021.08.21 -
(2021) 중국방정증권 MLCC심층보고
증권사자료인 만큼 깊이는 없지만 시장 동향은 참조할 만 하지않을까?? 합니다 올해 7월8일자 동방증권 자료.. 2017년부터 21년 1Q까지 시장에서의 수요변동.. 올해 하반기는 공급이 감소 수요증가로 가격이 상승??? - 공급감소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생산량 감소 - 수요는 ?? IT는 5G 때문에 증가한다고 하고 전장용은 자동차반도체 공급부족으로 인해서 그다지 늘지 않을 것같은데...ㅎㅎ 글로벌 MLCC Maker 중국업체까지 포함하면 수량으로는 삼성전기의 시장점유율은 20%이하가 됩니다만 금액으로는 ??? 2020년 전세계 시장은 1017억위엔, 이중 중국시장은 거의 50%, (물론 외국회사 생산량 포함이겠지만) 고용량 기술확보를 위해 중국 정부에서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
202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