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cc(119)
-
(Powder) Enhanced size uniformity and dispersibility of BaTiO3 nanoparticles by hydrothermal synthesis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ol. 30, No. 3 (2020) 91-95 조호연, 박병남 요 약 본 연구는 BaTiO3 나노입자의 용액 공정의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성 시간과 온도 증가를 통한 입자들의 핵생성 속도 및 확산 속도를 동시에 증가시켜 수열합성을 진행하였다.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20 nm 이하 균일한 크기의 BaTiO3 나노입자를 oleic acid 리간드를 매개로 180oC, 30시간의 조건에서 추가 공정 없이 합성하였다. 수열합성을 저온 에서 짧은 시간 동안 진행하였을 시 입자의 응집과 크기의 불균일함을 확인하였으며, 고온에서 장시간 진행하였을 시 입자가 잘 분산되고 크기가 균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2021.09.19 -
(Powder)Synthesis of 100 nm BaTiO3 by Solid-state Reaction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70~174, 2009 김정환† ·정한승·조준엽·홍정오·김영태·허강헌 BaTiO3 powder was synthesized by the solid-state reaction of fine BaCO3 and TiO2 raw materials. Fine grinding media of 50 and 300 microns were used for obtaining fine particulate mixture of BaCO3 and TiO2 with high homogeneity. Effect of the size of grinding media on the synthesis mechanism of BaTiO..
2021.09.17 -
(Dispersion) 고도 안료 분산 시스템의 연구 개발
도료의 연구 No143(4) 2005 생산기술 연구부 쿠라모토 무츠오 (요지) 요지 도막의 고 선영성, 고 의장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안료 입자의 보다 미세 분산이 요구되고 있다.그에 따라, 안료 분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져, 투입 에너지도 커지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경향은 도료의 수성화에 따라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당사에서는 생산 리드타임, 안료분산에 필요한 에너지(전력)를 대폭 삭감함과 동시에 보다 고도의 안료분산 달성을 목적으로 효율적인 고도 안료분산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그 결과 φ0.1mm 미세 미디어를 사용한 비즈 밀을 통한 대유량 순환 분산 시스템을 개발하여 안료의 고분산화와 함께 분산 에너지의 절감 및 분산 시간의 단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1. 서론 안료 분산에 관..
2021.09.11 -
(Ni electrode)Effect of alloying Ni inner electrodes
Effect of alloying Ni inner electrodes on the leakage current degradation of BaTiO3-base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Appl. Phys. Lett. 116, 132903 (2020) Shoichiro Suzuki, Shinichi Yamaguchi, Akitaka Doi, et al ABSTRACT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대부분 Ni 내부 전극과 BaTiO3계 유전체가 교대로 적층되는 전자 세라믹 부품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유용하기 때문에, 더 작은 치수와 더 향상된 용량의 MLCC를 얻으려는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 다양한 원소와 Ni 내부 전극을 합금하여 MLCC의 누..
2021.09.05 -
(Bake Out) 고온과열수증기 발생 장치의 개발
평성25년도 전략적기반기술고도화지원사업 연구개발성과등 보고서 개요판 파인세라믹센터 2.1 고온과열수증기 생성장치의 설계 및 제조 고온과열수증기 생성장치는 LSM 히터를 유도과열로 고온으로 만든 것에 포화수증기를 접촉시켜 열교환함으로써 고온의 과열수증기를 생성시키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그림 2-1-1에 고온과열수증기 생성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기존 시작기에서는 증기량이 15kg/h였기 때문에 유도 코일의 개량과 LSM 히터의 증량을 실시했다. LSM 히터를 탑재하는 배관에는 내열 충격성이 뛰어난 AT 세라믹스를 채용했다.또 LSM 히터를 유도 가열할 때 고주파 전원 및 유도 코일의 발열이 커서 서모 쿨러로 냉각했다. 포화수증기의 생성라인으로서 수돗물용과 더불어 수도수중에 포함된 나트륨이나 염소..
2021.09.04 -
(Calcination)Enhanced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3 based on ultrafine powders by twostep calcination
Physica B: Condensed Matter Volume 560, 1 May 2019, Pages 155-161 Abstract 고성능 유전소재로서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 적용에는 미립 티탄산바륨(BaTiO3)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2단계 하소 공정에 의해 평균 입자 크기 156nm, tetragonality 1.0092, 비표면적 6.09m2/g의 초미세 BaTiO3 분말을 합성하였다. 고상반응의 운동학적 분석 결과, 상/경계 제어 메커니즘이 1차 메커니즘이 주도적인 1단계 하소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2단계 하소 프로세스에서 반응 프로세스를 주도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2단계 하소에서 강화된 핵이 tetragonality 개선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Curie 온도에서 BaTiO3 세라..
2021.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