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이것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공정이다
제조공정을 유튜브에서 강의하시는 자료가 있어 가지고 왔습니다 일본어지만 자막을 키고 보세용 https://youtu.be/u2EcbrHtm8A
2023.03.19 -
Liquid-phase preparation of BaTiO3nanoparticles
IET Nanodielectrics 3(25), DOI: 10.1049/iet-nde.2020.0021 Abstract: Barium titanate (BaTiO3, BT) is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supercapacitors, thermistors, ferroelectric devices and piezoelectric devices due to its excellent dielectric, ferroelectric, piezoelectric and insulating properties. The performance of BT-based componen..
2023.03.19 -
히로시마대에서 납계재료 대체가능한 강유전성과 압전성에 우수한 세라믹제료개발
https://xtech.nikkei.com/atcl/nxt/column/18/02122/00243/ 広島大学などが強誘電性と圧電性に優れるセラミックス材料、鉛系材料代替に 広島大学大学院のキム・サンウク氏らの研究グループは、非鉛系圧電セラミックス材料を合成した。チタン酸バリウム(BaTiO3、BT)とビスマスフェライト(BiFeO3、BF)を固溶させて合成した xtech.nikkei.com 큐슈대학 대학원, 야마나시대학 대학원과 공동으로 연구했다. BF-BT세라믹스는 BF와 BT의 분말 형태 원재료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제작했다.강유전체 특성과 압전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강유전체에 특징적인 분극과 변형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BF-BT세라믹스는 자발 분극의 크기가 적층 콘덴서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전형적인 강유전..
2023.03.19 -
나고야대에서 두께1.8nm의 강유전체 나노시트, 저온에서 합성가능
https://xtech.nikkei.com/atcl/nxt/column/18/02122/00253/ 名古屋大学が厚さ1.8nmの強誘電体ナノシート、低温で合成可能 名古屋大学の長田実氏らの研究グループは、水溶液プロセスによりセ氏60度の低温で、単位格子数個の厚みを有するチタン酸バリウム(BaTiO3)ナノシートを合成した。ナノシート1枚での強 xtech.nikkei.com 본 연구에서는 BaTiO3 나노시트 합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두께 1nm의 산화티타늄 나노시트를 이용하여 표면 반응에 의해 BaTiO3로의 구조 변화를 유도하는 템플릿 합성법을 검토하였다.일반적으로 BaTiO3의 합성에는 세씨 1000도 이상에서의 소성을 필요로 한다.본 연구에서는 산화티타늄 나노시트의 높은 반응성에 주목했다.물·에탄올 혼합용액 중 수산화바륨..
2023.03.19 -
Exceptional reliability of MLCCs enabled by defect-engineered BaTiO3
Pengfei Wang, Lei Zhang, Xiong Huang, Jun Yang, Bo Li, Shuhui Yu, Rong Sun, Zhenxiao Fu, Xiuhua Cao Abstract It has generally been believed that the reliability of BaTiO3-based multilayered ceramic capacitors (MLCCs) is mainly contributed by hydroxyl (OH−), and the contribution of CO32− can be neglected. However, in this work, we demonstrated that the contributions of Ba/Ti ratio and CO32− play ..
2023.03.18 -
(2023) Development of high voltage MLCC
현대자동차에 계신 저자가 PLZT로 capacitor를 개발하신 것을 논문으로 출간하신 것같습니다. TDK에서 Ceralink라는 이름으로 상품화를 한 것으로 아는데 실제로 적용하여 테스트한 보고는 매우 드물군요. 아시다시피 PLZT는 제조자 입장에서는 1)Pb 사용문제, 또는 공정중의 함량변화 2) 내부전극 CU 산화 조정 3) 탈바인더 문제 등 난제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실제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메릿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2023.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