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제3장1절 티탄산바륨의 유전분극기구
제3장 유전체재료와 MLCC의특성 제1절 티탄산바륨의 유전분극기구 1. 서론 본 절에서는 MLCC 유전체층을 구성하는 주요 재료인 BaTiO3 유전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유전율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계를 인가했을 때에 유전체중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미시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처음에 일반적인 유전체의 유전성에 관하여 분극기구를 제시하고, BaTiO3 단결정이나 세라믹스의 유전분극기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되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2. 티탄산 비륨의 유전분극 2.1 유전성의 미시적 기원 유전체에 전계를 인가하면 속박전하가 나타나고 유전체 중에 유전분극이 생긴다. 이 유전분극의 메커니즘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대별하면 1)전자분극, 2)이온분극, 3)배향(쌍극자)분극, 4)계..
2022.05.22 -
(목차) 적층 세라믹 디바이스의 최신개발기술
목차 URL 제1편 재료편 제1장 콘덴서 재료 1. 수열합성법 티탄산 바륨 분말 prd2021.tistory.com/10 2. 염소법에 의한 고순도 초미립자 TiO2 prd2021.tistory.com/68 第2章 磁性材料(低温焼結用)(巨 東英) 第3章 圧電材料(低温焼結用)(秋山善一) 제4장 전극재료 1.적층세라믹콘덴서용 NI전극 페이스트의 최신개발기술동향 prd2021.tistory.com/41 2.고기능 귀금속 내부전극 第II編 作製機器編 제1장 적층디바이스용 박막 그린시트 성형기술/슬롯다이법 prd2021.tistory.com/35 제2장 분쇄/분급기술 prd2021.tistory.com/69 第III編 デバイス編 第1章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1. 대용량적층세라믹콘덴서의 개발 prd2021.tis..
2022.05.22 -
(목차)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개발과 재료기술 및 고신뢰성화
차례 집필자 URL 제1장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종류와 규격 TDK 中野 prd2021.tistory.com/54 제2장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특성과 용도 太陽誘電 樺澤 prd2021.tistory.com/53 제3장 각종 합성법에 의한 유전체 재료의 특징 서론 prd2021.tistory.com/9 1절 고상법 太陽誘電 安藤 prd2021.tistory.com/8 2절 수열법 界化學 靑木 prd2021.tistory.com/7 제4장 전극재료 합성기술 1절 액상법 大硏化學 上山 prd2021.tistory.com/50 2절 기상법 川鐵鑛業 成田 prd2021.tistory.com/51 3절 전극재료용 도전분말의 입자설계 昭塋化學 永島 제5장 성형 및 적층기술 1절: 시트 성형기술 康井精機 藤井 prd2..
2022.05.22 -
제2장 5절 특수한 단자전극
제2장 MLCC의 구조 및재료 제5장 특수한 단자전극 1. 금속판 단자 전극 MLCC를 회로기판에 실장하는데 있어서 단자전극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실장의 신뢰성을 생각했을 때 MLCC측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단자전극이다. 단자전극과 회로기판은 납땜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어 있으나 부품이 탑재된 전자회로가 다양한 환경변화에 놓여졌을 때에도 전기적 접속은 충분히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차량탑재나 항공우주 관련에 사용되는 전자회로의 경우 온도나 기계적 외력에 대해 가혹한 신뢰성 시험이 요구된다. 이에 열 사이클과 같은 열충격시 땜납의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주로 금속판 단자와 수지 전극의 2가지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금속판 단자를 부착한 구조의 MLCC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상품명으..
2022.05.22 -
제2장 4절 단자전극
1. 단자 전극 재료 단자전극의 역할은 MLCC의 내부전극과 전자회로를 접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MLCC와도 충분한 접착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회로기판과 납땜으로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충분한 강도로 접속되어야 한다. 단자 전극부의 구조의 모식도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단자 전극 재료로는 Ni 혹은 Cu가 이용되고 있지만, Cu가 보다 일반적이다. Cu 단자 전극 페이스트를 MLCC 단면에 도포, 건조 후에 소부라고 하는 열처리를 행하여 단자 전극이 형성된다. MLCC의 Ni 내부 전극과는 금속끼리여서 소부 시 확산 반응에 의해 충분한 접속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MLCC의 세라믹 유전체와는 「산화물과 금속」이라고 하는 큰 성질이 다른 물질의 조합이므로, 소부한 것만으로는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
2022.05.21 -
제2장3절 내부전극용NI분말의 제조법(2항 분무열분해법, PVD법)
1. 서론 최근의 MLCC의 소형·고용량화에 수반해, 유전체 세라믹층이나 내부 전극층에는 박층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용량화에 따라 MLCC의 적용 범위도 넓어지고, 높은 내압성을 필요로 하는 전원회로 등의 부품에 탑재도 진행되어 신뢰성에 대한 요망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내부전극의 주재료인 Ni분말의 특성에는 1) 목표전극 두께에 적합한 미세한 분말 2) 인쇄 특성 만족을 위한 분산성이 우수한 입자 설계 3) MLCC 소성 프로세스에 적절한 전극 소결을 얻을 수 있는 표면 설계 이 요구된다. 아울러 MLCC 시장의 확대를 견딜 수 있는 양산비용이 전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수요 확대에 의해 Ni메탈 사용량이 연간 1000ton 초과 MLCC 시장에서 특성과 양..
202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