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
-
제4장4절 최신 절연 열화 해석 기술
1. 서론 최근, Ni 내부 전극 MLCC는 소형화와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등의 통신 단말에 다수 탑재되었다. 앞으로, 통신 방식이 4G/LTE에서 5G로 이행되고 통신 단말에 탑재되는 MLCC의 원수가 더욱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차량, 산업 기기, 기지국 용도로도 MLCC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전장,산업기기, 기지국용에도 있어서도 MLCC의 수요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시장 동향의 상황 속에서 MLCC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는, 고온이나 고전압에 노출되었으며 MLCC는 기존보다 높은 품질과 신뢰성이 요구된다. 많은 연구자와 기업의 노력으로 내환원 유전체 재료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다. MLCC의 고성능화와 고신뢰성화를 목표로 계속해서 연구 개..
2022.07.10 -
제4장3절 내부전극과 신뢰성
1. 고온고전압 하에서의 절연 열화 고온부하 시험 또는 고온고습부하 실험에서 절연저항이 열화하는 원인은 두 가지로 나뉜다. 전극 재료의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에 따른 고장과 유전체 그 자체의 열화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도금액 등의 잔류 음이온 또는 습기가 이를 가속화시킨다. 전극 재료로서 사용된 귀금속 Ag 혹은 Pd, 특히 Ag는 일렉트로 마이그레이션을 일으키기 쉽다. 후자는 유전체의 내부, 즉 grain(입자)이나 grain boundary(입경)의 절연 저항이 전계의 영향으로 저하하는 현상이며, Ni-MLCC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여기에서는 유전체 재료의 절연 열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MLCC를 박층화, 다층화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절연 저항의 신뢰성이다. 신뢰성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러가..
2022.07.09 -
제 4장2절 희토류와 치환사이트
1. BaTiO3계 내환원성 유전체 재료의 희토류 원소 첨가 효과 1990년대에 들러와 BaTiO3에 억셉터인 Mn이나 Mg에 추가하여, 희토류 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Ni-MLCC의 수명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 재료계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Pd전극품과 동등 이상의 고신뢰성을 확보하는 Ni-MLCC가 실현되었으며 박층 시트 프로세스 기술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MLCC의 소형화와 고용량화가 한번에 가속되었다. BaTiO3에는 Ba가 차지하는 12배위의 A사이트와, Ti 가 차지하는 6배위의 B사이트의 두 종류의 사이트가 존재한다. 첨가성분이 어느 사이트를 점유하는가는 각종양이욘의 이온반경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첨가성분의 전기적 특성이나 미세 조직에 대한 영향을 고찰함에..
2022.07.09 -
제4장1절 구조결함과 신뢰성
1. 신뢰성과 고장모드 콘덴서의 전기적 특성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정전용량이다. 그러나 전기를 저장한다는 전제로서 절연저항이 높은(직류전류를 흘리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콘덴서의 신뢰성이라는 경우, 통상적으로 절연저항의 신뢰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실 사용중에 절연저항이 저하된 경우,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발열하고, 더욱 저항이 저하되어 최악의 경우에는 단순한 전자회로의 고장뿐 아니라 발화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쇼트 모드의 고장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고장 시 오픈 모드가 되는 퓨즈 부착 MLCC를 제안되어 왔지만, 대부분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였다. 비용이 매우 커진다고 하는 것과 불완전한 것이 주된 이유라고 생각된다. MLCC에서 발화에 이르는 중대 사고가 보고된 예는 많지 않으나 전..
2022.07.04 -
(2022) MLCC용 유전체 소재의 연구개발 동향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Vol. 35, No. 2, pp. 103-118 March 2022 DOI: https://doi.org/10.4313/JKEM.2022.35.2.1 Recent Progress in Dielectric Materials for MLCC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 Abstract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s)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core..
2022.06.10 -
제3장2절 슬러리에서 미립자 분산ㆍ응집설계기술
서론 액중의 미립자의 분산, 응집현상은 슬러리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구조 세라믹스, 전자세라믹스 재료제조 프로세스의 원료조정, 성형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세라믹스, 일렉트로닉스나 자기기록재료로서 미립자를 이용하는 경우, 미립자를 액중에 suspend 시키고, 고농도 슬러리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세라믹스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슬러리 중의 미립자의 분산, 응집상태의 제어는 재료기능이나 신뢰성의 향상, 수율, 저코스트화등의 관점에서 중용한 과제이며, 입자의 거동상태는 제조한 재료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입자 분산은 원료 분체의 미립자화, 이종입자의 복합화등의 요구사항이 까다롭고, 교반등의 작업으로는 입자의 분산화가 어려워서, 분산제의 첨가나 pH 조작등에 의한 입자..
202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