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der(15)
-
제2장3절 내부전극용 Ni분말의 제조법(1항CVD법)
제2장 MLCC의 구조 및 재료 제3절 내부전극용 Ni분말의 제조법 제1항CVD법 JFE미네랄 주식회사 Saito 1. CVD법에 의한 초미분제조의 개요 MLCC의 내부전극에 이용되는 Ni 초미분의 공업적 제조방법은 액상법과 기상법의 2가지로 대별된다. 기상법은 나아가 물리적 방법(PVD법: Physical Vapor Deposition)과 화학적 방법(CVD법: Chemmical Vapor Deposition)으로 분류된다. PVD법은 금속 증발·응축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CVD법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Ni 가스의 응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CVD법은 기상의 화학반응을 이용한 고체표면상에서의 박막성장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항에서의 CVD법은 기상중에서 입자를 석출·성장..
2022.05.16 -
(고상Powder)High reliable non-reducible ultra-fine BaTiO3-based ceramics fabricated via solid-state method
Chaoqiong Zhu, Qiancheng Zhao , Ziming Cai, Limin Guo , Longtu Li , Xiaohui Wang 고성능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현대 전자 제품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수요가 많이 증가하였다. 오늘날 MLCC는 대용량, 소형화, 저비용, 초신뢰성, 고온 안정성이 발전 추세이다. MLCC에서 적층된 유전층은 소형화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두께가 1mm 이하로 감소하므로, 각 층 두께에 걸쳐 최소 5개의 알갱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유전 나노결정 세라믹의 입자 크기가 200nm 미만으로 감소게되었다. 일반적으로 나노 세라믹 파우더를 합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수행되는데, 그 중 고상법과 수열합성법이 유망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나노 세라믹 분말 합성법이..
2022.02.19 -
(RF-Plasma) Tekna Ni-powder Webinar
Sep. 23. 2020 Tekna Dr. Song 기술적인 내용이 있는 slide만 캡쳐하여 공유합니다 http://www.tekna.com/webinars - 전자부품 즉 MLCC 내부전극용 NI-powder를 제조하거나 설비를 포함한 제조기술을 판매 - 기상 금속분말의 제조 프로세스 Evaporization & Condensation - 단점은 생산성이 낮다?? - Passivation 및 S코팅으로 소결거동 조절가능 - 가격도 절충가능?? - 파우더 입도분포는?? - 300나노 이상의 조대입자가 거의 없음 - 소성분위기에 맞추어 산소 및 황의 농도를 조절가능 - 황으로 코팅후 O2 Passivation (2~4nm) - NI powder를 에칭하면서 S, O2 농도분석 - EDS로 성분분석 (고른..
2021.09.27 -
(Powder) Enhanced size uniformity and dispersibility of BaTiO3 nanoparticles by hydrothermal synthesis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ol. 30, No. 3 (2020) 91-95 조호연, 박병남 요 약 본 연구는 BaTiO3 나노입자의 용액 공정의 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성 시간과 온도 증가를 통한 입자들의 핵생성 속도 및 확산 속도를 동시에 증가시켜 수열합성을 진행하였다.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20 nm 이하 균일한 크기의 BaTiO3 나노입자를 oleic acid 리간드를 매개로 180oC, 30시간의 조건에서 추가 공정 없이 합성하였다. 수열합성을 저온 에서 짧은 시간 동안 진행하였을 시 입자의 응집과 크기의 불균일함을 확인하였으며, 고온에서 장시간 진행하였을 시 입자가 잘 분산되고 크기가 균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2021.09.19 -
(Powder)A Study on th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dditives Coated BaTiO3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89~199, 2009. 박재성† ·김영태·허강헌·한영호 1. 서론 BaTiO3는 multilayer ceramic capacitor(MLCC), thermister, transducer 등의 세라믹 조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이 다. 대표적인 수동부품인 MLCC의 경우, 전자기기의 소형 화에 따른 수동부품의 downsizing을 구현하기 위해 유전체 두께는 얇아지고 그 적층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 이고 있다. 유전체층의 두께 감소를 위해서는 보다 작은 size(nano size)의 BaTiO3를 사용해야 하며 nano size의 BaTiO3를 사용할 경우 particle의 균일한 분산은 더..
2021.09.19 -
(Powder)Synthesis of 100 nm BaTiO3 by Solid-state Reaction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46, No. 2, pp. 170~174, 2009 김정환† ·정한승·조준엽·홍정오·김영태·허강헌 BaTiO3 powder was synthesized by the solid-state reaction of fine BaCO3 and TiO2 raw materials. Fine grinding media of 50 and 300 microns were used for obtaining fine particulate mixture of BaCO3 and TiO2 with high homogeneity. Effect of the size of grinding media on the synthesis mechanism of BaTiO..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