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iO3(22)
-
제3장3절 MLCC의 각종 전기적 특성
제3장 유전체 재료와 MLCC 특성 제3절 MLCC의 각종 전기적 특성 -현상론적 열역학을 이용한 특성 시뮬레이션 1. 서론 휴대전화, 모바일 컴퓨터로 대표되는 정보전자기기의 소형화, 고성능화, 전력절약화의 흐름은 멈출 줄 모르고, 이에 탑재되는 수동소자도 표면실장 가능한 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가장 앞선 적층 수동 소자의 대표는 MLCC이다. MLCC의 기본 조성은 BaTiO3이며 1940대 초반에 미·일·소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압전성, 강유전성, 구조 변화가 널리 연구되었으며 1949년 Kay and Vousden에 의해 그림 1에 나타낸 BaTiO3의 구조 변화가 보고되었다. BaTiO3의 강유전성이 발견된 것과 같은 무렵 오늘날 개인용 컴퓨터의 기초인 디지털형 컴퓨터 ENIAC가 개발되..
2022.05.24 -
제3장2절 티탄산바륨의 그레인사이즈 효과
제3장 유전체재료와 MLCC특성 제3장2절 티탄산바륨의 그레인사이즈 효과 1.서론 전자기기의 소형화·고성능화에 공헌하기 위해 MLCC의 소형·고용량화가 도모되어 왔는데, 이는 주로 유전체층의 다층화와 박층화에 의한 것이지만, MLCC의 용량밀도 향상은 한계를 맞이한다는 설이 있다. 오늘날 MLCC 유전체층의 두께는 수 100nm로 매우 작아졌기 때문에 기존의 시트 성형 공법의 적용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박층화에 의해 유전체층에 걸리는 전계강도가 매우 커지므로 바이어스하에서의 실효용량이 저하되고 절연신뢰성의 확보가 곤란하게 되어 있다. 또한, BaTiO3의 유전율은 세라믹스를 구성하는 입자의 사이즈에 의존하며, 특히 입경 1um 이하에서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현상은 BaTiO3의 '그레인..
2022.05.24 -
제3장1절 티탄산바륨의 유전분극기구
제3장 유전체재료와 MLCC의특성 제1절 티탄산바륨의 유전분극기구 1. 서론 본 절에서는 MLCC 유전체층을 구성하는 주요 재료인 BaTiO3 유전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유전율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계를 인가했을 때에 유전체중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미시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처음에 일반적인 유전체의 유전성에 관하여 분극기구를 제시하고, BaTiO3 단결정이나 세라믹스의 유전분극기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되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2. 티탄산 비륨의 유전분극 2.1 유전성의 미시적 기원 유전체에 전계를 인가하면 속박전하가 나타나고 유전체 중에 유전분극이 생긴다. 이 유전분극의 메커니즘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대별하면 1)전자분극, 2)이온분극, 3)배향(쌍극자)분극, 4)계..
2022.05.22 -
제2장2절-3 티탄산바륨의 합성법(2) - 수열합성
제2장 MLCC의 구조/재료 제2절 유전체 세라믹스 제2항 티탄산바륨의 합성법(2) - 수열합성 1. 배경과 목적 MLCC의 유전체층, 또한 전극층의 소결방지재로 이용되는 티탄산바륨의 합성법으로는 본 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상법·수산염법이 있다. 여기서 기술하는 수열합성법을 비롯한 습식에 의한 합성법을 포함하여 합성법의 바리에이션이 풍부한 것이 현재도 티타늄산 바륨이 유전체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 중 하나의 요인으로 생각되어진다. 수열합성반응은 분체합성의 한 방법으로 비교적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수열반응의 특징은 1) 실온의 물과 비교하여 밀도·점성·유전율이 저하되는 것, 2)물질이 용해되기 쉬워지는 것이며, 따라서 1) 중온에서도 고결정 입자가 생성됨 2) 조성의 균일성이 높고 3) ..
2022.05.15 -
Silane-treated BaTiO3 ceramic powders for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enhanced dielectric properties
Kyungki Beak, Moonhee Choi, Dong Hyun Kim, Yiseul Yu, Jayaraman Theerthagiri, Amal M. Al-Mohaimeed, Yangdo Kim, Hyeon Jin Jung, Myong Yong Choi Chemosphere286(2022)131734 1. 서론 경박단소의 전자 제품에 대한 최근의 추세는 향상된 특성을 갖는 소형화된 전자 부품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Wada et al., 2003; Kishi et al., 2003; Tsubaki et al., 2001; Pithan et al., 2005; Kim et al., 2021). 특히,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동부품인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제조하기 위해, 바인더, 가소제,..
2022.02.26 -
(Solid state reaction)고상반응법을 이용한 BaTiO3 합성 및 특성 평가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Vol. 33, No. 6, pp. 483-489 November 2020 김용진, 최문희, 신효순, 주병권, 전명표 Abstract: BaTiO3 powder was synthesized by a solid-state reaction using BaCO3 and TiO2. Different calcination temperatures (800℃, 850℃, 900℃, and 950℃) were set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properties of BaTiO3 powder.The synthesized BaTiO3 phase was confirmed to be a single pha..
202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