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iO3(22)
-
Enhanc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control of BaTiO3 by seed-induced solid-state synthesis
https://doi.org/10.1016/j.ceramint.2023.02.159 Redirecting linkinghub.elsevier.com 본 연구에서는 결정성이 높은 고체 BaTiO3 분말 개발을 위한 고체 합성 시드 공정을 보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BaCO3와 TiO2의 전고체 합성이 개시되기 전에 균일한 조성, 높은 결정성, 미세한 크기의 BaTiO3 유전체 세라믹 분말을 합성하기 위한 미세 핵생성 사이트가 형성되었습니다. 전구체 간 균질 합성을 유도하기 위해 50 nm 크기의 BaTiO3 seed 25 wt%를 첨가하여 저온 고체 상태 합성 및 향상된 결정성을 갖는 BaTiO3 합성을 촉진하였습니다. 특히 균질 핵생성은 소결 후 입자의 미립화를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유전 특성이 크게 ..
2023.05.27 -
Liquid-phase preparation of BaTiO3nanoparticles
IET Nanodielectrics 3(25), DOI: 10.1049/iet-nde.2020.0021 Abstract: Barium titanate (BaTiO3, BT) is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supercapacitors, thermistors, ferroelectric devices and piezoelectric devices due to its excellent dielectric, ferroelectric, piezoelectric and insulating properties. The performance of BT-based componen..
2023.03.19 -
나고야대에서 두께1.8nm의 강유전체 나노시트, 저온에서 합성가능
https://xtech.nikkei.com/atcl/nxt/column/18/02122/00253/ 名古屋大学が厚さ1.8nmの強誘電体ナノシート、低温で合成可能 名古屋大学の長田実氏らの研究グループは、水溶液プロセスによりセ氏60度の低温で、単位格子数個の厚みを有するチタン酸バリウム(BaTiO3)ナノシートを合成した。ナノシート1枚での強 xtech.nikkei.com 본 연구에서는 BaTiO3 나노시트 합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두께 1nm의 산화티타늄 나노시트를 이용하여 표면 반응에 의해 BaTiO3로의 구조 변화를 유도하는 템플릿 합성법을 검토하였다.일반적으로 BaTiO3의 합성에는 세씨 1000도 이상에서의 소성을 필요로 한다.본 연구에서는 산화티타늄 나노시트의 높은 반응성에 주목했다.물·에탄올 혼합용액 중 수산화바륨..
2023.03.19 -
티탄산바륨의 개발역사와 장래전망
2008년 Fulrath 상 30주년 기념강연회 예고집 ㈜무라타제작소 사카베 유키오 서론 제2차 세계대전시 통신기기용 고품질 세라믹 콘덴서가 국가적 니즈이며, 일, 미국, 소련에서 거의 때를 같이하여 티탄산 바륨(BaTiO3)이 발명되었습니다. (1942~1944) 실리콘 반도체도 이에 몇 해 뒤처진 1947년 Bell연구소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위대한 재료는 이후 고도 정보화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습니다. 다시 한번 치타바리의 일본에서의 탄생과 무라타 제작소의 발전을 되돌아보고 21세기가 요구하는 새로운 재료에 대한 도전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티탄산바륨 탄생의 기록 1943년 6월 12일, 도쿄 마루노우치 호텔에서 고유전율 재료 연구회가 니시카와 마사하루(도쿄대 물리), 니타 유우(..
2022.09.10 -
제4장3절 내부전극과 신뢰성
1. 고온고전압 하에서의 절연 열화 고온부하 시험 또는 고온고습부하 실험에서 절연저항이 열화하는 원인은 두 가지로 나뉜다. 전극 재료의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에 따른 고장과 유전체 그 자체의 열화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도금액 등의 잔류 음이온 또는 습기가 이를 가속화시킨다. 전극 재료로서 사용된 귀금속 Ag 혹은 Pd, 특히 Ag는 일렉트로 마이그레이션을 일으키기 쉽다. 후자는 유전체의 내부, 즉 grain(입자)이나 grain boundary(입경)의 절연 저항이 전계의 영향으로 저하하는 현상이며, Ni-MLCC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여기에서는 유전체 재료의 절연 열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MLCC를 박층화, 다층화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절연 저항의 신뢰성이다. 신뢰성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러가..
2022.07.09 -
(2022) MLCC용 유전체 소재의 연구개발 동향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Vol. 35, No. 2, pp. 103-118 March 2022 DOI: https://doi.org/10.4313/JKEM.2022.35.2.1 Recent Progress in Dielectric Materials for MLCC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 Abstract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s)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core..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