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erial(57)
-
(Material) 결합제 각론 (세라믹용 바인더)
1. 수용성 결합제 1.1 단백질 1.1.1 카제인 탈지우유를 원료로 하고, 이에 염산을 가하면 백색침전하는데, 이를 산성카제인이라 한다 탈지유에 응고효소를 가하여 침전시키면 효소카제인이 생긴다. 카제인은 호르마린 또는 연화제를 가하여 혼화하고, 분쇄하여 이 분말을 가열가압하면 성형가능하다. 카제인은 흡습성이 크고, 다소 무르고, 유지, 에테르, 알콜에 녹는다. 우유중에 함유되아 있는 카제인은 천연에서는 칼슘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물에는 녹지 않으나, 나트륨염은 물에 녹고, 유화제, 안정화제로서 이용된다. 1.1.2 대두단백질 대두를 눌러 으깨서 여액에 간수 또는 MgCl2를 첨가하여 가열하면 대두유가 액중에 남고, 대두단백질은 응고한다. 카제인과 마찬가지로 호르마린처리를 하면 성형가능하고 대부분은 카제인..
2021.03.30 -
(Material)Sekisui PVB Binder
적수화학(Sekisui) PVB Binder Seminar 타이틀 발표순서 세라믹 용도로서는 MLCC, MLCI, IC package등 PCB는 PVA를 알데히드와 반응시켜 만들며 유기용제에 녹으며 가소성이 높다 PVB 분자는 아세탈기 + 아세틸기+ 수산기로 구성 그리고 분자량, 중합도에 따라 구분된다 각각의 그룹에 따라 바인더의 성질이 달라진다 중합도가 높아지면 막강도가 증가하고 용액의 점도는 올라간다 PCB 수지의 종류 바인더로서 PCB를 사용하고 소성전에 탈바인더를 거친다 MLCC제조공정에서의 결합제의 요구성능 결합제의 요구성능 아세탈기의 함유량이 높으면 시트의 유연성과 열압착성이 높다 수산기가 많으면 흡수성이 높고 시트강도는 강하다 아세틸기가 많으면 점도가 낮고 열압착성이 높다 PVB는 쉬트유연성..
2021.03.30 -
(Powder Synthesis)박층 MLCC의 실현을 위한 티탄산바륨(BaTiO3)의 고도화
小西 幸宏 태양유전㈜ 종합연구소 재료 개발부 출처 : 월간 Material Stage(2007년) 1. 도입 MLCC(multy Layer Ceramic Capacitor)은 그림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전체층과 내부 전극이 서로 교차하여 적층 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높은 것은 800층을 넘기도 하는 집형 콘덴서이다. 용량밀도는 최근 10년간 2자릿수 성장을 계속하고 있으며, 소형・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있으며, 유전체・내부 전극의 복층화, 다적층화의 경향을 보인다. 현재, MLCC 유 전체 두께는 얇은 것의 경우, 1㎛ 이하의 것도 일부에서는 상품화되고 있다. 그림 1. MLCC 구조 그리고 앞으로도 보다 박층, 다적층화를 통한 대용량화가 기대되고 있으며, 이것을..
2021.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