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적층세라믹콘덴서의 재료-제조-실장기술과 최신기술(34)
-
제1장3절 특성과 특징
제1장 MLCC의 개요 제 3 절 특성과 특징 1항 특성에 의한 분류 MLCC는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에 따라 Class 1(저유전율계)과 Class 2(고유전율계)의 2종류로 크게 나뉜다. Class 1의 MLCC에는 CaZrO3등의 상유전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비유전율은 수 10정도이다. 이 때문에 대용량의 MLCC는 아니지만 환경온도나 전압의 변동에 비해 용량 변동이 작다. 예를 들면 온도에 대한 용량변화가 선형적이며, 그 변화율도 수백 ppm/t 정도로 매우 작기 때문에 공진회로 등 용량안정성이 요구되는 회로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온도보상용 콘덴서라고도 불린다. 이에 반해 Class 2의 MLCC에는 BaTiO3 등의 유전율이 높은 강유전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비율 유전율은 수 ..
2022.05.02 -
제1장2절 시장동향
1장 MLCC의 개요 2절 시장동향 1항 시장규모추이 MLCC의 시장규모는 2016년에는 3조개를 넘어 2018년에는 4조개까지 확대되었으며, 시장의 재고 과다로 올해는 잠시 진정되는 듯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재고도 정상상태가 되고 다시 5G의 도입도 있어 성장궤도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향후 2023년에는 5조개에 가까워져 2020~23년의 CAGR은 6.4%가 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그림 1) 이러한 MLCC 시장 규모 확대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 이유가 있다. 1. 단위 부피의 용량 확대에 의한 전해 콘덴서로의 잠식 2. 성장 시장에서의 기기 증가 및 장비에서의 MLCC원수 증가 이후 그 배경에 대해 언급해 보겠다. 2항 시장규모확대의 배경 2.1 MLCC 단위 부피의 용량..
2022.05.02 -
제1장1절-2 내부전극
1장 MLCC의 개요 1절 적층세라믹콘덴서의 역사 2항 내부전극 2.1 Pd전극 MLCC가 개발될 당시 내부 전극에는 Pt가 사용됐다. 가장 큰 이유는 강유전체인 BaTiO3가 산화물이기 때문에 공기중에서, 게다가 1300도 이상이라는 고온에서 소성된다는 점이었다. 이 조건에 맞는 금속재료로서, 융점이 높고 공기중에서도 산화하지 않는 귀금속의 Pt가 채용되었다. 그러나 Pt에서는 내부전극 비용이 너무 높기 때문에, 귀금속 중에서도 당시에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Pd(현재는 Pt보다 높다)가 전극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1985년경 가격은 Pt가 약 2000엔/g, Pd가 약 450엔/g이었다. 따라서 Pt에서 Pd 내부전극으로의 전환은 비용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내부 전극이 Pt인 경우, MLCC의 사용은 ..
2022.04.30 -
제1장1절-1 적층세라믹 콘덴서의 역사
1장 MLCC의 개요 1절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역사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역사] 적층 세라믹 콘덴서 (Multi-Layered Ceramic Capacitor : MLCC) 는 해마다 생산증가의 일로를 걷고 있다. 1990년에 전 세계에서 약 1,000억 개의 생산량이었으나 2016년에는 전 세계에서 약 3조 개나 생산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IoT 혹은 자동차의 EV화나 자동운전 기술 등에 의해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Connected (커넥티드, 연결), Autonomous (자동운전), Shared & Service(셰어링과 서비스), Electric (전기자동차)의 이른바 CASE라 불리는 키워드가 자동차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지침이라 불리고 있다. 1960년..
2022.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