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gen vacancy(3)
-
제 4장2절 희토류와 치환사이트
1. BaTiO3계 내환원성 유전체 재료의 희토류 원소 첨가 효과 1990년대에 들러와 BaTiO3에 억셉터인 Mn이나 Mg에 추가하여, 희토류 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Ni-MLCC의 수명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 재료계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Pd전극품과 동등 이상의 고신뢰성을 확보하는 Ni-MLCC가 실현되었으며 박층 시트 프로세스 기술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MLCC의 소형화와 고용량화가 한번에 가속되었다. BaTiO3에는 Ba가 차지하는 12배위의 A사이트와, Ti 가 차지하는 6배위의 B사이트의 두 종류의 사이트가 존재한다. 첨가성분이 어느 사이트를 점유하는가는 각종양이욘의 이온반경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첨가성분의 전기적 특성이나 미세 조직에 대한 영향을 고찰함에..
2022.07.09 -
(2013)Introduction of Small Size MLCC to Aero-Space Application and its technology
13.09.25 Yuji Yamada Abstract 무라타는 이전에 IT용으로 사용되었던 박층 기술을 사용하여 우주용 소형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를 개발했다. 현재 자동차용 MLCC에서 선별하여 품질인증된 0.1uF에서 22uF까지의 5개의 제품을 출시하였다. 무라타는 소형과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 실현을 위해 박층 세라믹 시트 기술과 균일하고 정제된 내부 전극(Ni) 기술, 산소공공 제어 기술 등을 활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제품 소개와 함께 기술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서론 무라타는 일본항공과 JAXA에서 POL(Point Of Load) DCDC 컨버터까지 소형 고용량 제품 개발 의뢰를 받았다.(그림 1) 유전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시험 조건 및 가..
2021.10.20 -
(2019)박층대용량화/고신뢰화를 향한 세라믹 구조설계
172회 전자세라믹 프로세스 연구회 발표자료 (2019.6.22) 발표자: 나카무라 토모유키 발표순서는 입계제어 -> 입내제어 > 계면제어 MLCC 를 지탱하는 코어 기술과 제품 전개 체적용량의 향상과 유전체 시트의 박층화: 03A106은 ???? 절연파괴(BDV)와 절연열화(신뢰성 고장시간)과의 관계 절연저항 메카니즘 소개: 제조코스트를 낮추기 위해 귀금속 내부금속을 비금속 Ni로 변경하였으나 NI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환원분위기하에서 소성해야 함. 이로인하여 세라믹 내부 산소공공(빈자리)가 발생하고 신뢰성시험시 즉, DC전계하에서 산소공공이 (+)전하를 갖으므로 음극으로 이동한다. 음극근방의 산소공공 농도가 높아져 최종적으로 절연파괴에 이른다. IT 용 MLCC는 소형 대용량화가 필요하므로 유전체 ..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