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t(3)
-
제4장3절 내부전극과 신뢰성
1. 고온고전압 하에서의 절연 열화 고온부하 시험 또는 고온고습부하 실험에서 절연저항이 열화하는 원인은 두 가지로 나뉜다. 전극 재료의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에 따른 고장과 유전체 그 자체의 열화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도금액 등의 잔류 음이온 또는 습기가 이를 가속화시킨다. 전극 재료로서 사용된 귀금속 Ag 혹은 Pd, 특히 Ag는 일렉트로 마이그레이션을 일으키기 쉽다. 후자는 유전체의 내부, 즉 grain(입자)이나 grain boundary(입경)의 절연 저항이 전계의 영향으로 저하하는 현상이며, Ni-MLCC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여기에서는 유전체 재료의 절연 열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MLCC를 박층화, 다층화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절연 저항의 신뢰성이다. 신뢰성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러가..
2022.07.09 -
제 4장2절 희토류와 치환사이트
1. BaTiO3계 내환원성 유전체 재료의 희토류 원소 첨가 효과 1990년대에 들러와 BaTiO3에 억셉터인 Mn이나 Mg에 추가하여, 희토류 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Ni-MLCC의 수명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 재료계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Pd전극품과 동등 이상의 고신뢰성을 확보하는 Ni-MLCC가 실현되었으며 박층 시트 프로세스 기술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MLCC의 소형화와 고용량화가 한번에 가속되었다. BaTiO3에는 Ba가 차지하는 12배위의 A사이트와, Ti 가 차지하는 6배위의 B사이트의 두 종류의 사이트가 존재한다. 첨가성분이 어느 사이트를 점유하는가는 각종양이욘의 이온반경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첨가성분의 전기적 특성이나 미세 조직에 대한 영향을 고찰함에..
2022.07.09 -
(MLCC)Suppressive effect of Ni–Sn internal electrode atthe anode on the leakage current degradationof BaTiO3-base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Shoichiro Suzuki,a) Shinichi Yamaguchi, Akitaka Doi, Akihiro Shiota, Naoki Iwaji, Shunsuke Abe, Makoto Matsuda, Tomoyuki Nakamura, and Harunobu Sano Murata Manufacturing Co., Ltd., Nagaokakyo-shi, Kyoto 617-8555, Japan 1. 서론 고용량 다층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연간 약 4조개의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전자 부품으로 스마트폰부터 자동차까지 전자기기의 주요 패시브 부품 중 하나다. 최근 MLCC 기술은 환원 대기에서 Ni과 BaTiO3를 동시 소성하는 것이다. 최신 전자 장비의 소형화와 성능 향상을 위해 MLCC의 소형화와 용량 확..
2022.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