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9R(2)
-
제3장7절 신규 유전체재료
제3장 유전체 재료와 MLCC 특성 제7절 신규 유전체 재료 1. 거대 유전율 재료 : CaCu3Ti4O12 새로운 강유전체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오늘날까지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특히 거대 유전율 재료로 불리는 신규 재료에 관한 보고가 2000년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본 절에서는 많이 보고된 거대 유전율 재료 중에서도 대표적인 재료에 대해 해설한다. Subramanian 등이 의사 페롭스카이트(pseudo-perovskite) CaCu3Ti4O12(CCTO)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유전율을 발견한 이후 CCTO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상전이 없이 넓은 온도범위 (300~600K)에 걸쳐 K=~10^5라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유전율의 기원에 관해 많은 흥미를 가져왔다. CCTO의 유전..
2022.05.29 -
제3장6절 자동차용 재료
제3장 유전체 재료와 MLCC 특성 제6절 자도차용 재료 1. BaTiO3의 큐리 온도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트렌드는 MLCC에 대해 보다 높은 정전용량과 더 소형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MLCC에서는 유전체층의 박층화와 다층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ECU(일렉트로닉 컨트롤 유닛), PGM-FI(연료분사제어), ABS(Anti-lock Brake System) 등의 자동차용 전자제어회로의 MLCC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자동차의 경량화는 연비개선의 중요한 인자로 중점적으로 추진되며 와이어하네스의 삭감이나 제어 유닛의 엔진룸 내 배치 등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도의 제어유닛에 이용되는 전자부품에는 보다 고온에서의 특성과 신뢰성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Bi2O3-PbO-TiO2계 유전체 조성..
202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