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53)
-
(2022) 삼성전기 전장용 MLCC-1. 고전압 MLCC
https://www.youtube.com/watch?v=WTSF5c20Cj8
2023.03.19 -
자동차용 필름 컨덴서의 3가지 역활
https://www.shizuki.co.jp/condenser/cme/ 自動車用フィルムコンデンサ | 株式会社 指月電機製作所 自動車の各部で電子制御化が進むなか、電気を最適なかたちに整えるコンデンサは、安全で快適なドライブを支えてきました。今では、次世代の工コ力ーとして需要が高まる「電気自動車」 www.shizuki.co.jp 자동차용 콘덴서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지금까지의 가솔린차나 디젤차에서는 「전기 노이즈의 제거」를, 게다가 차세대 공력인 EV(전기 자동차)나, HEV(하이브리드 자동차), PHEV(플러그인·하이블리드 자동차)등에서는, 「전기 노이즈의 제거」에 가세해, 「인버터의 평활용」 「컨버터의 필터용」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1. 전장품의 노이즈를 제거, 잡음 방지용 콘덴서 와이퍼나 파워 윈도우..
2023.03.19 -
(2023) Development of high voltage MLCC
현대자동차에 계신 저자가 PLZT로 capacitor를 개발하신 것을 논문으로 출간하신 것같습니다. TDK에서 Ceralink라는 이름으로 상품화를 한 것으로 아는데 실제로 적용하여 테스트한 보고는 매우 드물군요. 아시다시피 PLZT는 제조자 입장에서는 1)Pb 사용문제, 또는 공정중의 함량변화 2) 내부전극 CU 산화 조정 3) 탈바인더 문제 등 난제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실제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메릿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2023.03.18 -
X-Y capacitor
A Special Class of Capacitors Class-X 및 Class-Y 콘덴서는 안전 인증을 받았으며 일반적으로 많은 전자 장치 응용 분야에서 AC 라인 필터링에 설계 및 사용됩니다. 이러한 안전 콘덴서는 EMI/RFI 억제 콘덴서 및 AC 라인 필터 안전 콘덴서를 포함한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EMI는 전자기 간섭, RFI는 무선 주파수 간섭을 나타냅니다. RFI는 단순히 고주파 EMI입니다.) Class-X 및 Class-Y 캐패시터는 EMI/RFI 생성 및 수신된 EMI/RFI와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캐패시터가 EMI/RFI 필터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AC 전원 입력, 즉 AC "라인" 및 AC "중립"에 직접 연결됩니다(아래 그림..
2022.12.04 -
(2021) High Reliability Technology of MLCC for CASE Requirement at Automotive Market
セラミックス 56(2021)No. 1 Toshimi OGUNI and Hideo HIROSE 1. 서론 근년, 자동차 업계에서는 "CASE(Connected, Automous, Shared & Service, Electric)"에의 대응이 중점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CASE" = "연결되는 자동차/자율주행/카쉐어/전동화"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자동차에 탑재되는 각종 기능의 전자 제어화가 점점 진행되고 있어, 차 1대당 탑재되는 전자기기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CASE 사회에서도 자동차에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탑재수가 증가하고 있는 전자기기 및 전자부품에서도 고기능화하면서 지금까지와 동등 이상의 고신뢰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CASE 사회에 요구되는 자동차용 적층 세..
2022.11.27 -
티탄산바륨의 개발역사와 장래전망
2008년 Fulrath 상 30주년 기념강연회 예고집 ㈜무라타제작소 사카베 유키오 서론 제2차 세계대전시 통신기기용 고품질 세라믹 콘덴서가 국가적 니즈이며, 일, 미국, 소련에서 거의 때를 같이하여 티탄산 바륨(BaTiO3)이 발명되었습니다. (1942~1944) 실리콘 반도체도 이에 몇 해 뒤처진 1947년 Bell연구소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위대한 재료는 이후 고도 정보화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습니다. 다시 한번 치타바리의 일본에서의 탄생과 무라타 제작소의 발전을 되돌아보고 21세기가 요구하는 새로운 재료에 대한 도전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티탄산바륨 탄생의 기록 1943년 6월 12일, 도쿄 마루노우치 호텔에서 고유전율 재료 연구회가 니시카와 마사하루(도쿄대 물리), 니타 유우(..
2022.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