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shell(2)
-
제3장4절 고유전율재료(Core-shell, Non core-shell)
제3장 유전체 재료와 MLCC의 특성 제4절 고유전율 재료 1. 서론 Class2(고유전율계) MLCC에서는 주로 유전체 재료로 BaTiO3(BT) 혹은 Ba(Ti, Zr)O3(BTZ)를 주원료로 한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BT 혹은 그 일부를 미량의 Ca로 치환한 (Ba,Ca)TiO3 (BCT)를 기반으로 한 재료가 주류이다. BT계 재료의 실온에서 비유전율은 3000~5000 정도로 Class1 MLCC와 비교하면 매우 크지만 비유전율이 10000을 넘는 BTZ계 재료에 비해 낮다. BTZ계 재료는 내환원성이 뛰어나고 절연성도 높다. 대신 BTZ계 MLCC는 용량의 온도 변화가 커서 실온에서 85℃로 온도를 높이면 용량이 80% 가까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주로 EIA 규격 Y5V(-30에서 ..
2022.05.28 -
(2019)박층대용량화/고신뢰화를 향한 세라믹 구조설계
172회 전자세라믹 프로세스 연구회 발표자료 (2019.6.22) 발표자: 나카무라 토모유키 발표순서는 입계제어 -> 입내제어 > 계면제어 MLCC 를 지탱하는 코어 기술과 제품 전개 체적용량의 향상과 유전체 시트의 박층화: 03A106은 ???? 절연파괴(BDV)와 절연열화(신뢰성 고장시간)과의 관계 절연저항 메카니즘 소개: 제조코스트를 낮추기 위해 귀금속 내부금속을 비금속 Ni로 변경하였으나 NI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환원분위기하에서 소성해야 함. 이로인하여 세라믹 내부 산소공공(빈자리)가 발생하고 신뢰성시험시 즉, DC전계하에서 산소공공이 (+)전하를 갖으므로 음극으로 이동한다. 음극근방의 산소공공 농도가 높아져 최종적으로 절연파괴에 이른다. IT 용 MLCC는 소형 대용량화가 필요하므로 유전체 ..
2021.10.18